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농업 8

AI시대에서 변하는 직업(1/3)

AI시대에서 변하는 직업(1/3) 1) 가까운 미래의 AI의 모습 한없는 발전성과 가능성을 비장한 채로 진화를 계속하는 것이 AI이다. AI는 도대체 어디까지 진화하고 장래 우리들의 생활은 어떻게 변화해 갈 것인가. 역사를 되돌아보면 IBM의 컴퓨터 가 처음으로 체스의 세계 쳄피온에 승리한 것이 1997년이다. 2016년에는 영국의 구글 산하 기업 디프마인드사가 개발한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 가 프로기사에게 이겼다. 게임의 세계에서는 이미 AI는 인간의 능력을 초월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 자동차의 자동운전기술의 개발도 가속하고 있다. 구미나 일본에서는 완전 실용화를 향한 실증 실험이 행해지고 있어 택시나 트럭 운송에도 자동운전의 실용화가 검토되고 있는 듯하다. 또 자동운전기술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진화하는 세균 대 항생물질, 어느 쪽이 강한가?

진화하는 세균 대 항생물질, 어느 쪽이 강한가? -내성균이 가진 딜레마란- 농업을 하는 개미 북미동남부에서 중남미에 걸쳐서 가위개미라는 개미가 살고 있다. 가위개미는 이름처럼 잎을 자르는 개미이다. 어째서 잎을 자르는가 하면 자른 잎을 써서 농업을 한다. 가위개미의 농업이 진화한 것은 약 5000만 년 전이라고 생각되어서 인간이 농업보다도 훨씬 오래다. 가위개미는 잎을 잘라서 둥지로 운반한다. 잎을 나르는 길은 정해져 있어서 어떤 종은 가위개미로는 평탄하게 다져진 길이 100미터나 뻗어있는 것 같다. 잎을 나르는 가위개미와는 달리 소형의 일개미라 불리는 가위개미가 갓길을 순찰하고 있어서 다시 둥지는 병정개미가 잘 지키고 있다. 경비되는 안전한 길을 평탄하게 다져진 걷기 쉬운 길을 써서 잎을 나르므로 매우..

과학/과학 2022.07.01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2, 해시계 당초의 해시계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이 일반적으로 해 그림자 막대(日影棒)의 방향 각도와 길이로 대강의 시간을 헤아리는 정도였으나, 원판의 중심부에 막대를 꼽아 그대로 지면에 세운 것 같은 , 건물의 벽 등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게 간소화된 등 여러 가지 것이 있었다. 해시계는 과학 지식을 배우면 어디서나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수 점검할 필요도 없는 것이므로 전 세계에 퍼져서 중근동. 그리스, 로마 등에서 다시 발전한다. 천문학이나 철학이 발달했던 그리스에서는 기원 전 4세기에 철학자로 유명한 풀라톤(PlátōnBC427년-BC347년)이 아테네 교외에 시각에 더해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천문시계를 만들었다. 같은 무렵 ..

과학/과학 2021.06.28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 1, 인류 최초의 시계는 해시계 원시적인 해시계는 지면에 막대기를 세우는 것만으로 만들 수 있다. 처음 를 깨달은 사람은 참으로 훌륭하다고 생각된다. 아무튼 의 존재를 풀기 위하여 밝힌 것이니까. 사람은 고 한다. 시간이 어떻게 해서 발견되었는지는 후대 사람들의 추측의 영역을 넘지 아니한다. 그런데 을 특별히 정할 수도 없으나 매우 훌륭한 지능이다. 인류가 처음으로 만든 시계는 해시계라고 한다. 달력과 함께 디크리스 유프라강 유역에 태어난 메소포타미아문명이나 이집트문명에 그 흔적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메소포타미아문명에서는 기원전 1만년 경부터 농업이 행해져서 사람들은 자연의 변화나 계절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언제 이 종자를 뿌리는 것이 좋을 것인가, 언제 이 ..

과학/과학 2021.06.27

'반지의 제왕을 소환하다' (41) 나무와 인공지능

‘반지의 제왕’을 소환하다 (41) 나무와 인공지능 이 나무가 바로 지금 정해진 시간에 여기 자라나게 된 사연을 누가 알 수 있겠소? 하지만 이곳은 고대부터 성지였으니, --누군가 그 열매를 그곳에 심어놓았겠지요. 그 나무는 열매를 맺는 일이 드무나 일단 열매를 맺으면 그 속에 든 생명은 오랜 세월을 잠들어 있기에 누구도 그것이 깨어날 때를 예측할 수 없다고 하오. 일단 나무가 열매를 맺으면 혈통이 끊어지지 않도록 반드시 심어줘야 하는 거요. 엘렌딜의 종족이 북방의 황무지에 숨어 있었던 것처럼 이 나무 역시 이 산속에 숨어 있었던 것이오. 더욱이 님로스의 혈통은 그대의 혈통보다 휠씬 오랜 것이라오, 엘레사르 왕이여 한 그루의 나무가 그 자리에 어떻게 심겨지게 되었는지는 심은 사람만 알 수 있다. 식목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