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한시감상/중국 한시

洛橋晩望(낙교만망)

간천(澗泉) naganchun 2013. 3. 29. 04:30

 

洛橋晩望(낙교만망)

 

 

당(唐) 맹교/孟郊

 

天津橋下氷初結(천진교하빙초결)

洛陽陌上人行絶(낙양맥상인행절)

楡柳蕭疏樓閣閑(유류소소누각한)

月明直見嵩山雪(월명직견숭산설)

 

--낙교의 저녁 경치--

 

천진교 아래에 얼음이 처음 얼고

낙양의 거리에는 사람의 통행 끊어졌다.

느릅나무와 버드나무 성글고 누각은 한적한데

달이 밝아 숭산의 눈을 그저 볼뿐이다.

 

*낙교(洛橋)-천진교. *천진교(天津橋)-낙양 시내를 흐르는 강에 걸린 다리. *소소(蕭疏)-잎이 진 나무가 쓸쓸한 모양. *직(直)-그저(조사) *숭산(嵩山)-등봉현(登封縣) 서북쪽에 있는 산으로 낙양에서는 동남쪽에 멀리 보인다. *빙(氷)-얼음. *결(結)-맺다. *맥(陌)-저자거리. *맥상(陌上)-천진교를 지나서 통하는 대로. 가로. *유(楡)-느릅나무. *절(絶)-끊다. *소(疏)-드물다. *소(蕭)-쓸쓸하다. *소소(蕭疏)-성기고 쓸쓸하다. *한(閑)-한가하다. *설(雪)-눈.

 

감상

날씨가 추워져 번화하고 사람들이 흥청거리는 천진교 그 바로 밑에 처음으로 얼음이 얼려 낙양 대로를 오가는 사람도 없어졌다. 느릅나무와 버드나무도 잎을 모두 떨어버리고 추운 듯이 덜덜 떨고 있다. 누각은 고요해졌다. 나는 이제 막 떠오른 달빛 비치는 숭산에 쌓인 눈을 멀리 바라다볼 뿐이다.

 

작자

맹교(孟郊)(751-814)

당나라 중당기의 시인이다. 자는 동야(東野), 호주무강(湖州武康)(절강성/浙江省) 사람이다. 46세에 간신히 진사가 되었다. 50세에 율양(溧陽)(강소성/江蘇省) 위(尉)로 부임했으나 부여받은 일은 하지 않고 술에 탐닉하였으므로 봉급은 반으로 감봉되고 결국에는 물러나야 했다. 그 후 수륙전운판관(水陸轉運判官)을 지내고 후에 흥원(興元)(섬서성/陜西省) 절도사가 되었으나 병사했다.

세상살이가 서투른 시인이었으나 한유(韓愈) 하고는 평생 친교를 맺고 지내서 “시에는 맹교, 산문에는 한유”(맹시한필(孟詩韓筆))라는 평을 받았다. <맹동야시집(孟東野詩集)> 10권이 있다.

 

 

 

 

 

'한시감상 > 중국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塞下曲(새하곡)  (0) 2013.05.16
 淸明(청명)   (0) 2013.04.05
大風歌(대풍가)  (0) 2013.02.25
淮上別故人(회상별고인  (0) 2013.01.24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지람관시질손상)  (0)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