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역사의 수수께끼/역사의 수수께끼

선사시대 인류가 입은 옷은 무엇이었을까

간천(澗泉) naganchun 2013. 11. 2. 10:32

 

선사시대 인류가 입은 옷은 무엇이었을까

 

 

 

의복의 기원은 어디에 있을까? 하는 단순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지금도 세계의 고고학자들은 보다 오랜 복식류의 유물을 구하려고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질문이 단순한 만큼 답은 어렵다. 영화나 만화 등에 나오는 원시인은 짐승의 모피를 두른 경우가 많으나 실제는 잘 모르고 있다. 옷을 몸에 걸치는 행위는 인류만의 특징인데 그 습관이 발달한 경위를 해명하려고 하는 시도는 아직 시작일 따름이다.

의복이 화석으로 남는 일은 거의 없고 뼈를 두른 조직과 같이 잠간 사이에 썩어버린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염색된 식물섬유나 의복에 기생하고 있었던 이(몸에 기생하는 작은 벌레) 등 간접적인 증거물을 근거로 선사 시대의 인류의 복장을 단편적이지만 밝히고 있다.

 

사시대의 의복

 

고대 복식류로서의 오랜 유물에는 미국 오래곤주에서 출토된 수피(樹皮)의 섬유를 소재로 하는 약 8000년 전의 산달이나, 이집트의 약 5000년 전의 셔츠나 피스가 붙은 드레스가 있다. 또 알프스 산 중에서 발견된 약 5300년 전의 미라, 아이스맨(에쓰이)이 몸에 두르고 있었던 짐승의 가죽과 간초(干草)로 짠 신발, 모피의 윗도리, 가죽으로 만든 각반이나 바지 등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프랑스 모르도대학의 고고학자 레베카 사이크스(Rebecca Wragg Sykes)씨에 의하면 더 오랜 연대의 유물이 필요해서 이 정도로는 불충분하다고 한다.

예를 들면 러시아에서 발견된 약 2만 8000년 전의 무덤을 비롯하여 선사시대의 무덤에서는 의복의 장식용이라 보이는 피스나 이빨 등 당시의 복식을 엿보게 하는 유물이 적지만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피매장자의 의복이다. 선사시대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떤 의복을 입었는지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나지 않았다. 한편 수만 년 전 인류가 의복을 만들었던 간접적인 증거는 얼마간 존재한다고 사이크스씨는 말하고 있다.

미국 조지아주의 동굴군에서는 약 3만 년 전의 식물섬유가 발견되고 있다. 핑크나 검정 파랑 색으로 물들여지고 있어 당시 옷감 만들기에 관한 단서가 될 것이다. 또 약 2만 년 전 뼈바늘도 발견되고 있는데 아마도 의복이나 장식품을 봉제하는 데에 쓰였을 것이다.

선사시대 사람들이 그린 상상도 등에서는 조잡한 모피를 몸에 두른 모습이 태반이다. 그러나 고고학적 자료로서 판단한다면 2만 6000년 전에는 이미 복잡한 의복이 만들어졌었다고 사이크스씨는 지적한다.

 

네안데르탈인은 옷을 입고 있었다.

 

 

네안데르탈인(상상도)

 

 

선사시대 인류란 우리들 호모 사피엔스 만은 아니다. 근연족이라 생각되는 네안데르탈인도 틀림없이 의복을 입고 있었다고 생각되고 흥미 깊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2012년 미국 코네디커트대학에서 인류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네이산 웰스(Nathan Wales)씨는 네안데르탈인이 착용하고 있었던 의복에 대하여 자세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웰스씨는 먼저 유사 이래 수렵 채집 활동을 영위하던 245의 문화권에서 볼 수 있는 복장의 특징과 각각의 생활환경 조건을 조사하였다. 빙하기간 특히 한랭한 지역에서 살았던 네안데르탈인은 몸 표면의 80% 이상을 의복을 두르는 한편 기후에 알맞지 않은 것이라는 가설을 세었다.

네안데르탈인에 비하여 현생인류는 추위에 대한 내성이 낮고 그런 때문에 방한효과가 있는 의복을 만들어서 그것으로 몸을 싸서 추위를 견디었다고 추측된다.

그 후 우리들 현생인류는 살아남았고 네안데르탈인은 절멸하였다.(신체적, 문화적인 관점에소 보는 경우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는 현생인류에 이어지고 있다.) 원인은 아직도 모른다. 웰스씨는 양자의 복식문화의 다름이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어떻든 당시 양자가 어떤 모양을 확립하고 있었던 것은 필연적이다. 혹시 자신들의 자손이 도회에서 입는 매년 변하는 기발한 패션을 보았다고 한다면 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것은 상상하기에 어렵지 않다.(내셔날 지오그래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