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지구 84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이 지구에서 태어난 생명체는 "변하지 않을 수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고 이는 정말로 깊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4, 바이러스 DNA의 변화와 숙주 생물의 생존 및 소멸 치명적이지 않은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화는 유전자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한편, DNA(염기서열)가 "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하더라도, 그 변화는 그 종이 생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개체를 소멸시킬 만큼의 큰 변화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DNA의 치명적인 변화"는 개체 수와 번식 기회를 감소시킴으로써 "종의 쇠퇴와 멸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치명적이지 않으며 번식 기회를 감소시키..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끝)== 이 지구에서 태어난 생명체는 "변하지 않을 수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고 이는 정말로 깊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4, 바이러스 DNA의 변화와 숙주 생물의 생존 및 소멸 치명적이지 않은 유전자 염기서열의 변화는 유전자가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한편, DNA(염기서열)가 "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하더라도, 그 변화는 그 종이 생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개체를 소멸시킬 만큼의 큰 변화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DNA의 치명적인 변화"는 개체 수와 번식 기회를 감소시킴으로써 "종의 쇠퇴와 멸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치명적이지 않으며 번식 기회를 감소시키지도..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2)

지구는 언제든지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2)== 이 지구에서 태어난 생명체는 "변하지 않을 수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고 이는 정말로 깊은 이유에서 비롯된다.== 3, 「변하지 않을 수 없는」DNA DNA가 변하지 않는 경우와 변하는 경우의 바이러스와 생물의 관계. a, b, c는 각각 특정 유전자를 상정한 것이다. 어디까지나 모델일 뿐이다.그러나 현실에서는 바이러스가 생물에게 때때로 ‘방해자’가 되기도 한다. 어떤 생물 A와 좋은 관계를 유지해 온 바이러스 A가, 우연히 다른 생물 B에 감염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생물 B 입장에서는 바이러스 A는 방해자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것을 ‘생체 방어’라는 생물 특유의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제거하려고 한다.그리고 아마도 바이러스 A는 생물 ..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4)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4)==“색채의 풍부함과 아름다움에 너무나도 놀랐다” – 조사하기 어려운 빙붕 아래에서 발견된 생태계== 빙붕 아래에 다양한 생물이 사는 이유는? 생명체가 발견된 것 자체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어두운 차가운 바다에는 많은 생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빙붕 아래에도 어느 정도 생물이 존재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빙붕에 가려져 있었던 덕분에 인간의 해상 활동이나 개발로부터 보호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 국제대학의 심해생물학자 다니엘 데레오 씨(이번 조사에는 참여하지 않음)는 이렇게 설명했다.그러나 최근까지 두꺼운 얼음층으로 덮여 있던 폐쇄적인 환경에서 이렇게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신기한 일이다..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3)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3)==“색채의 풍부함과 아름다움에 너무나도 놀랐다” – 조사하기 어려운 빙붕 아래에서 발견된 생태계== 우연히 마주친 조사선이 즉시 현장으로 출발 파르코 2호는 바다의 모든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전 세계를 돌아다니는 조사선이다. 올해 1월, 마침 남극을 둘러싼 차가운 바다에 도착해 있었다. 생태학자들은 흥미로운 생물을 찾고, 해양물리학자와 지구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의 주요 저장고인 남극해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베링스하우젠 해를 항해하던 중, 거의 매일 갱신되는 해당 해역의 위성 이미지를 살펴보던 연구진은 "바로 근처에서 거대한 빙산이 분리되려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몬테리 씨는 말했다. 후에 'A-84'라고 명명된 이 빙..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2)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2)==“색채의 풍부함과 아름다움에 너무나도 놀랐다” – 조사하기 어려운 빙붕 아래에서 발견된 생태계== 수천 년간 유지된 숨겨진 생태계 포르투갈 아베이루 대학의 해양생태학자이자 조사팀의 또 다른 일원인 파트리시아 에스케테(Patricia Esquete) 박사는 “빙붕 아래에서 매우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 숨 쉬는 생태계가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어 왔다”고 밝혔다.그러나 이러한 생태계의 존재는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의문을 불러일으켰다.일반적으로 심해의 생태계는 바다 표면에서 떨어지는 영양분을 섭취하며 유지된다. 하지만 이곳은 오랜 시간 두께 150m에 이르는 빙붕 아래에 가려져 있었다. 그렇다면 이 생명체들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1)

남극에서 거대한 빙산 분리, 해저에는 놀라운 생물의 보고가 펼쳐져, (1)==“색채의 풍부함과 아름다움에 너무나도 놀랐다” – 조사하기 어려운 빙붕 아래에서 발견된 생태계== 남극 대륙의 조지 6세 빙붕 아래에 숨겨져 있던 수심 약 230m의 해저에서 거대한 해면과 말미잘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사진 제공: ROV SuBastian / 슈미트 해양연구소)1월 13일, 남극 대륙의 광대한 조지 6세 빙붕에서 일본의 야쿠시마 섬 크기와 맞먹는 거대한 빙산이 분리되었다. 마침 그 근처에 있던 조사선은 즉시 현장으로 향했다. 지금껏 누구도 본 적 없는, 빙붕 아래에 감춰져 있던 해저를 조사하기 위해서였다. 마치 세계 최대의 바위를 들어 올려 그 아래 숨어 있던 생명체들을 관찰하는 것과도 같..

지구의 북극이 시베리아 방향으로 이동,

지구의 북극이 시베리아 방향으로 이동==미래의 나침반이 "진북에서 벗어날" 가능성==  세계 자기 모델은 지구의 지자기(지구가 가진 고유한 자기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항공, 항해, GPS, 지도 제작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기술을 뒷받침하는 기초가 된다.5년 만에 갱신된 최신 버전에서는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 즉 "북극"이 캐나다에서 시베리아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2040년까지는 나침반이 진북을 정확히 가리키지 않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캐나다에서 시베리아로 이동하는 북극의 불안정한 움직임 지리적 북극과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나침반의 북쪽, 즉 "북극"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구 내부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용융 금속의 흐름에 의해 위..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구름이 없어지고 손 쓸 수 없게 된다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구름이 없어지고 손 쓸 수 없게 된다 1, 구름이 없어진다란  기후변동 대책으로 태양을 가로 막는다는 아이디어가 있다. 세계의 리더가 기후 위기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배경에 태양방사관리(solar radiation management)라는 이름으로 점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이에는 대기 중의 높은 위치에 있는 작은 입자를 주입하여 태양 에너지를 우주로 도로 보내는 일도 포함된다. 태양방사관리를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이유도 들고 있을 것이다. 태양을 가로 막으면 작물의 생산에 악영향이 있고, 강우량이 변화가 있고 기타 많은 문제가 따를 기능성이 있다. 또 전날 미국과학 아카데미 기요(PNAS)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탄소배출량을 급격히 계속 증가시키면 잘 될 것이 아닌가 ..

세계는 지구 온난화 1.5도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세계는 지구 온난화 1.5도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과학자들은 지적한다.==   (AFP=시사) - 지난해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겪으면서 지구 온난화를 관측하는 과학자들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섭씨 1.5도 이상 상승하는 등 현생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에 들어섰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브라질, 2024년 산불로 이탈리아 전체 면적보다 더 많이 불에 탄 브라질 연구 보고서 지구 온난화 대책을 위한 국제 프레임워크인 파리 협정은 산업 혁명 이후 평균 기온 상승을 목표로 한다. 섭씨 2도 미만으로 낮추고 온도를 섭씨 1.5도 미만으로 더 낮추는 것이 목표이다. 1.5°C라는 임계치가 얼핏 보면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온난화가 심화되면 더 심각한 홍수, 폭염, 폭풍, 해수면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