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 여성과 남성은 어떻게 다른가.
우주에 갔다 온 사람은 지금까지 564명, 그 중65명아 여성이다. 최초로 주회궤도에 탔던 여성은 소련의 우주비행사 와렌치나 테레시코프 씨이다. 1963년이라는 이른 시기의 일이었다.
미항공우주국(NASA)이 소련을 따라 잡는데 20년이 걸렸다. 여성으로서는 사상 3번째 미국 여성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된 사리 라이드(Sally Kristen Ride, 1951년 5월 26일 – 2012년 7월 23일)씨는 1983년에 우주를 향했다. 당시의 매스컴은 출발 전의 라이드 씨에게 임무 중에 화장을 할 것인가, 후라이트시뮤레이터(Flight Simulator/실제와 똑 같은 비행체험)에서 잘 맞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울었는가 하고 질문하였다.
그리고 금년 2019년 10월 18일 NASA는 세계 최초의 여성만의 우주유영 임무를 행하였다. 금년 처음으로 계획된 이 임무는 우주비행사의 한 사람에게 알맞은 사이즈의 우주비행복이 없었기 때문에 중지되었다.
발샤 자인 박사(Dr. Valsha Jain)는 과거 10년에 걸쳐 본래의 연구의 곁에서 우주부인과의로서도 연구를 쌓아왔다. 영국 에딘바라대학 산부인과센터에서 박사과정의 연구를 함과 동시에 NASA와 공동으로 우주에서의 여성의 건강에 대하여 조사하고 있다. 자인 박사는 BBC라디오5 생방송 <애마 바네트 쇼(The Emma Barnett Show)>에 출연하여 우주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야기해 주었다.
다음은 발샤 자인 박사의 이야기이다.
남성과 여성, 우주에서 받는 영향은 다르다
우주환경에로의 순응 전반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도 거의 같지만 얼마는 다른 점이 있다.
여성은 우주에 갈 때에 남성은 지구로 돌아올 때에 기분이 나빠진다. 남성은 우주에서 돌아올 때에 시각이나 청각에 영향이 나타나지만 여성에게는 이러한 증상은 없다. 한편으로 귀환 후의 여성은 혈압을 조정하는 데 괴롭고 흔들리기 쉽다.
이러한 미묘한 다름이 있으나 그것이 호르몬의 다름에서 오는 것인지 생리학적인 다름에서 오는 것인지는 모른다.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다름을 이해함으로써 지구상에서의 건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주에서 월경은 어떻게 하는가?
사리 라이드씨가 우주에 갔을 때 NASA에서는 우주에서는 여성의 월경은 어떻게 되는지 그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가라는 질문이 있었다.
당시의 여성우주비행사는 <문제가 될 만큼은 문제라고는 생각되지 않게 한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우주여행은 캠프와 비슷하므로 엔지니어들은 생리용품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 하고 계획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남성 중심의 세계이므로 최초는 1주간에 필요한 탐폰(Tampon)의 수를 100개나 200개라고 계산하고 있었다. 물론 그 후 곧 그렇게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는데. 현재는 거의 여성우주비행사가 피임 빌을 복용하여 생리를 멈추고 있다. 건강체이므로 그것이 안전하다.
나의 일 중에는 자궁 내 피임 용구 등 생리를 멈추게 하는 다른 방법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단을 찾는다는 것도 있다.
===========*탐폰 (Tampon)
탐폰은 월경 중에 질에 삽입함으로써 월경혈을 흡수하기 위해 설계된 여성 위생 제품이다. 올바르게 삽입하면 탐폰은 질에 자리가 잡히며 월경혈을 빨아들인다. 판매되는 탐폰의 대부분은 레이온 또는 레이온과 면섬유의 혼합 형태로 구성된다. 위키백과=======
우주에서의 용변, 여성에게는 왜 큰일인가?
국제우주정거장에는 화장실이 2개가 있다. 엔지니어는 당초 혈액을 고려하지 않았다.
우주에서는 오줌은 재이용되어서 음료수로 추출된다. 그러나 생리 중의 혈액은 고체로 본다는 것과 우주 정거장의 화장실에는 액체 중에서 고체를 분리하는 기능이 없어서 여성의 오줌은 이용되지 않는다.
또 세탁에 쓰는 물의 양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우주여행 중에 생리를 하게 되면 위생면에서 여러 가지로 큰일이다.
우주에서 생식기능에 문제가 생기는가?
우주에 가는 것이 우주비행사의 생식기능에 미치는 분명한 실증 가능한 영향은 없다. 남성도 여성도 우주 임무 후에 아기를 가질 것을 생각해 두어야 한다. 한편 여성우주비행사의 최초의 임무 때의 평균 연령은 38세이다.
NASA가 일하는 인간을 지탱하는 직장 환경으로서 빼어난 것은 이러한 측면이라고 생각한다. 궁극적으로는 난자나 정자를 동결할 것인지 아닌지 전혀 개인적인 선택이고 내가 알고 있는 한에는 우주비행사에 임무 전에 이것을 하라고 하는 규약은 NASA에는 없다.
우주비행사는 우주에서 방사능을 받을 위험을 지고 있다. 이것이 여성의 생식능력에 영향을 끼치는지는 아직 모른다.
남성에 대해서는 우주에 가있는 동안에 정자의 수나 질이 낮아지는지 어떤지 알고 있지만 지구에 돌아오면 원래대로 돌아오므로 장기적인 위험에 대해서는 모른다.
여성은 태어나면서 모든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므로 NASA는 우주 임무 전에 여성우주비행사가 난자를 동결하는 데에 대하여 매우 협력적이다.
어째서 우주부인과의로?
의학에 흥미를 가지기 전에 우주에 흥미가 있었다. 어릴 때 형제가 <스타 트랙(Star Trek)>의 팬이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베벌리 크러셔(Beverly Crusher/트렉 프랜차이즈의 캐릭터)나 캐서린 제인웨이(Kathryn Janeway/스타 트랙의 가상 인물) 함장이라는 강한 여성 캐릭터를 알고 있어서 자신의 목표가 되었다.
우주의료의 분야에서 일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부인과를 전문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우주의료에서는 여성 건강에 대해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고 느끼고 있었던 셈이다.
NASA에서 근무 처음 날은 과자가게에 있는 아이 같은 기분이었다. NASA의 존슨 우주센터 (Johnson Space Center, JSC)까지 차를 몰고 그 간판을 보았을 때에는 흥분하여 소리 지른 것을 기억한다. 당시는 일하러 가는 것이 기다릴 수가 없어서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났다.
우주에 가보고 싶다
장기간의 임무는 싫다. 생리학적인 변화에 대하여 너무 잘 알고 있었으므로 아무래도 그러고 싶지는 않았다.
우주에서 인체에 일어나는 변화는 나이 드는 것을 가속화시키는 것과 같다. 뼈의 변화 하나만 보아도 인간은 우주에 가면 뼈의 양(골량/骨量)이 낮아진다. 지구에 돌아와서 얼마나 훌륭한 대항책이나 프로그램을 베풀어도 그 일부는 돌아오지 않는다. 물론 우주에서 지구를 보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장기적인 목표라면 나는 이미 자신으로서 이상의 일을 하고 있으므로.
쟈인 박사는 우주와 여성의 건강 관계를 연구하는 의사 개척자의 한 사람이다. 현재는 에딘바라대학 산부인과 센터에서 여성 웰빙 연구의 트레이닝 페로우(Training fellows)로서 과다월경을 연구하고 있다.
출처=www.bbc.com › features-and-analysis-50179338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를 일으키는 뇌 안의 이상한 단백질을 가시화하다. (0) | 2020.11.05 |
---|---|
인류가 바이러스와 인연을 끊을 수 없는 깊은 이유 (0) | 2020.10.02 |
적인지 우군인지! 인체에 잠겨있는 39종류의 <공생 바이러스> (0) | 2020.09.28 |
생물은 바이러스와 인연을 끊을 수 없다. (0) | 2020.09.19 |
생명과학의 위험성이란 무엇인가 (0)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