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수출규제, 한국의 생산라인 정지 가능성 일본에 여파도
한국에 수출 규제
일본 정부가 발표한 한국에로의 반도체 재료의 수출규제강화에 따라 소재분에서의 대일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은 필지이다. 한국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료의 재고는 3-4개월분 밖에 없고, 생산라인의 정지도 예상된다. 단지 세계 굴지의 점유율을 가진 한국에서 반도체 출하가 정체되면 그 공급을 받는 일본 메이커의 여파도 피할 수가 없다.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공급되는 반도체의 재료나 제조 장치가 점유하는 비율은 70%라 하는 반도체 수출 전체의 20%이상을 점유하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LG전자 등에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도 재료를 공급하고 있지만 일본제품의 품질의 높다는 점도 더해서 <일본기업의 기술력을 따를 수 없다>는 것이 현상이다.
각 기업이 현재 확보하는 재료의 재고는 1개 월 분으로 와성품의 재고를 더해도 3-4개월 밖에 지탱하지 못한다. 공장의 생산 라인이 정지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재소를 검토하고 있는데 결론이 나오기까지는 1년 반- 2년이 걸리고 한국으로서는 승소했을 경우의 이익보다 그 사이에 생기는 손실이 방대할 듯하다.
한편 일본에서도 상처가 없지 않다.
스마트폰이나 TV등의 화면에 사용되는 유기 E L파넬의 세계 점유율은 삼성이나 LG라는 한국 기업이 압도적인 점유율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데어터 센터의 데이터 보존에 사용하는 NAND형 플래시 메모리에서 삼성이나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이 강하다. 이들 부품을 써서 제조하는 일본의 전기메이커의 생산 계획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서 <개별 조달처에는 답하지 않고 있으나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파나소닉)는 상황이다.
일본종합연구소의 무코오야마 히데히코(向山英彦) 수석주임연구원은 <한국의 반도체 메모리 수출처는 중국, 홍콩이 약 8할을 차지하고 있고 일본은 1할도 되지 않지만 이번의 규제강화로 중국에서의 생산에 영향이 생기면 중국에 수출하는 일본기업에도 파급될 것이다.>고 지적하고 있다.
<구와하라(桑原雄尚) 나무라(名村隆寛)>(2019.7.2. 상케이신문)
'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중국은 패권국이 될 수 있을까> (0) | 2019.10.08 |
---|---|
미중 무역전쟁에서 정한 길을 못가는 시진핑의 위기관리 능력 (0) | 2019.10.07 |
트럼프씨의 북한 미사일 <불문> 발언, (0) | 2019.05.29 |
남중국해 이야기 4 (0) | 2015.11.14 |
남중국해 이야기 3 (0) | 201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