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해류 3

바다에 떨어져서 28시간. 혼자 표류하여 생환한 실업가

바다에 떨어져서 28시간. 혼자 표류하여 생환한 실업가 -상어와 갈매기에 습격을 받아 죽음을 각오, 인생을 바꾼 대사건- 아프리카의 실업가 브레트 아치볼드(BRETT ARCHIBALD)씨는 배를 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은 상상할 만한 가장 무서운 악몽을 경험하였다. 인도네시아에 서핑(surfing/파도타기)여행 도중 야간에 배에서 떨어진 것이다. 그 순간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는 죽음을 각오했으나 의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시간보다 훨씬 긴 28시간 이상 수면에 떠 있다가 구조되었다. 아치볼드 씨는 저서 『Alone: Lost Overboard in the Indian Ocean』에서 그 무서운 밤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뉴욕에서 그와 만나 그가 어떻게 살아났..

과학/과학 2022.08.26

<지구온난화는 사람 탄생의 숙명?> (1/4)

(1/4) -환경변동에서 인류의 시대 제4기를 되돌아본다.- 오늘날처럼 우리들 호모사피엔스가 지구상의 여러 가지 환경에 확산하여 적응하게 된 것은 지구 규모의 환경변동이라는 요소가 깊이 관계되고 있다. 그러면 어째서 환경은 변화하는 것일까? 그 모습은 어떻게 조사할 수가 있는 것일까? 그리고 그 변화는 어떻게 우리들의 조상에게 영향을 끼쳤는가? 공룡이 살고 있던 중생대는 지구는 이제보다도 훨씬 따뜻했다고 생각되고 있다. 고위도 지방에서는 15도(섭씨)나 평균기온이 높고 남극이나 북극에도 오늘날과 같은 큰 빙하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공룡절멸 후 6000만 년 전 무렵부터 조금씩 지구의 온도는 저하하기 시작하였다. 공룡이 절멸한 시기를 경계로 중생대부터 신생대라는 시대로 변화한다. 신생대는 제3기(60..

환경. 우주 2022.06.20

바다에 대한 기초지식 (1)

바다에 대한 기초지식 (1) 1, 육지의 높이와 바다의 깊이 우리가 사는 지구는 물의 혹성이라고 하듯이 지구의 표면의 70%는 바다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바다 전체의 일부밖에 보지 못하고 있다. 바다는 깊고 해저에는 산도 있고 골짜기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일본의 남동에 위치하는 마리아나해구이다. 깊이는 11,000m로 세계 제일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산도 잠긴다. 지구 전체의 바다의 깊이를 평균하면 그 깊이는 약 3,800m이다. 해저는 3,000 ㅡ에서 6,000m의 깊이인 곳이 가장 넓고 전 해양의 70%, 지구의 표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2, 바다의 수직구분과 비율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바다이다. 그 바다 전체의 98%가 이다. 란 태양 빛이 닿지 않는 200m 이상의 ..

카테고리 없음 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