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카테고리 없음

바다에 대한 기초지식 (1)

간천(澗泉) naganchun 2021. 9. 20. 04:10

바다에 대한 기초지식 (1)

 

바다

 

1, 육지의 높이와 바다의 깊이

 

우리가 사는 지구는 물의 혹성이라고 하듯이 지구의 표면의 70%는 바다이다. 그러나 우리들은 바다 전체의 일부밖에 보지 못하고 있다. 바다는 깊고 해저에는 산도 있고 골짜기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일본의 남동에 위치하는 마리아나해구이다.

깊이는 11,000m로 세계 제일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산도 잠긴다.

지구 전체의 바다의 깊이를 평균하면 그 깊이는 약 3,800m이다. 해저는 3,000 에서 6,000m의 깊이인 곳이 가장 넓고 전 해양의 70%, 지구의 표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2, 바다의 수직구분과 비율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바다이다. 그 바다 전체의 98%<심해>이다. <심해>란 태양 빛이 닿지 않는 200m 이상의 깊이를 가진 바다 모두를 말한다. 암흑, 저온, 고압이 그 세계를 지배한다.

우리들의 HADEEP의 연구 프로그램에서는 심해 중에서도 특히 <초심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초심해(超深海)>6,000m 이상의 해역을 말하고 주로 해구(海溝)로 농구성(濃構成) 되고 있다.

===*HADEEP=신세기를 여는 심해과학 리더십프로그램Hadal Environmental Science/

Education Program======

 

3, 초심해역의 분포

 

<초심해>는 세계에서도 특히 해저로 플래트가 침몰하는 일본근해에 집중하고 있다.

 

4, 심층해류

 

전 해양을 도는 해수의 대순환이 있다. 북대서양 북부의 그린란드 바닷가와 남극해에서 냉각된 해수가 잠겨서 차고 무거운 심층수가 된다. 해저를 이동하는 심층수는 인도양북부와 북태평양에서 끓어올라서 해류의 일부가 되어서 출발점으로 되돌아간다. 이 대순환은 벨트콘베아 순환이라고 해서 그린란드 바닷가에서 잠긴 해수가 북태평양에 돌아서 닿는 데는 약 2000년이 걸린다. 이 순환은 단지 해수가 이동한다는 것만은 아니다. 해수 중에 함유된 영양분을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바다의 생물의 생활에도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5, 빛과 수온과 수압

 

바다에서 빛이 닿는 곳은 오염되지 않은 외양이라도 표면의 단지 200m뿐이다. 그보다 깊은 바다는 빛이 거의 닿지 않는 암흑세계이다. 온도도 깊이와 함께 내려간다. 적도 바로 아래의 열대의 바다에서도 1,000m가 넘으면 5C 이하가 된다.

압력은 10m마다 1기압이 올라간다. 11,000m의 바다에서는 1,100의 압력이 걸린다.(계속됨)

 

일본어원문=基礎知識 - HADEEPとは - 新世紀深海科学 ..

출처=.https://www.aori.u-tokyo.ac.jp › hadeep ›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