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태양 13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이야기(7-1/8)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 이야기(7-1/8)  7, 갈리레오의 업적 1) 천문학의 업적 갈리레오는 망원경을 일찍이 다룬 한 사람이다. 네덜란드 연방공화국에서 1608년에 망원경의 발명특허에 대해서 알아보면 1609년 5월에 1일에 10배의 망원경을 제작하고 다시 20배의 것으로 고쳤다. 1609년 여름 45세인 갈리레오는 네덜란드에서 발명된 망원경에 2개의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천체관측에 쓸 수 있도록 개량하였다. 갈리레오가 그 망원경을 하늘로 향했을 때 우주에 관한 오랜 관념을 버리고 코페르니크스(Mikołaj Kopernik、1473-1543, 폴란드의 천문학자. 만년에 『천구의 회전에 대하여』를 지음)의 이론을 한층 유리하게 하는 사실이 밝혀졌다.1609년에..

세계의 과학자 2024.06.25

7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0)

7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0) 석양이 깊은 숲에 들어 푸른 이끼를 더 푸르게 비추네. 이끼가 푸르게 아래에서부터 위로 가만히 움직이는 영상을 보는 듯하다. 곧 정중동의 그림을 보는 느낌이다. 시인은 순간적인 직관으로 빈산의 석양 무렵 깊은 숲 속에 비쳐 드는 한 줄기 저녁 햇살에 반사되는 이끼의 푸른빛의 변함을 들릴 듯 말듯 한 사람의 음성을 배경으로 하여 시각과 청각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返景入深林, 復照靑苔上.(王維, 鹿柴) 반경입심림, 복조청태상.(왕유, 녹시)

오늘의 명언 2023.07.09

우리들은 초속 600Km로 우주 공간을 돌진하고 있다.

우리들은 초속 600Km로 우주공간을 돌진하고 있다. -이를 알 수 있는 애니메이션 작성- https://www.youtube.com/watch?v=npq_yb-xLmw 자료 : 유투브의 제임스 오도노휴(James O'Donoghue) 씨는 심플한 애니메이션 지구는 자전하면서 태양을 공전하고 태양은 은하계의 중심을 주회하고 은하는 우주공간을 질주하고 있다. 이들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지 전 NASA에서 현재는 JAXA의 혹성과학자인 제임스 오도노휴(James O'Donoghue) 씨는 심플한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내었다. 지구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보이지만 우주마이크로파배경방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CMB)와 비교하여 계측하면 맹렬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우..

환경. 우주 2022.10.27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세계적인 베스트셀라 『우아한 우주』의 저자 브라이안 그린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즈 제5회이다. 어째서 물질이 생겨나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가려는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의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를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낸 이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본서에서 이번 회는 태양계가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지를 해명한다. 태양은 우주창생부터 세어서 3대째의 항성 나이 45억을 지나서도 태양은 우주의 신입자이다. 태양은 우주의 제1세대의 항성의 하나가 아니었었다. 항성의 선구자가 된 제1세대의 별들은 인플레이션의 팽창으로 공간전체에 끌려 뻗은 물질과 에..

환경. 우주 2022.05.30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1/4)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1/4) --팽창하는 태양으로부터 지구는 도망칠 수 있을까?-- 세계적인 베스트 셀라 『우아한 우주』의 저자 브라이안 그린(Brian Greene、1963년 2월 9일 -)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스 제7회이다. 왜 물질이 생겨나는가,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갈 것인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이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내고 이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본서에서 이제 소개하는 것은 태양과 지구의 미래이다. 우주의 시간을 마천루에 비유한다면 미래를 생각할 때는 어떤 구획을 놓으면 좋을 것인가? 일상적인 시간의 스케일이라면 당연히 인간의 ..

환경. 우주 2022.04.18

알아두고 싶은 달 이야기 (1)

알아두고 싶은 달 이야기 (1) 놀라운 탄생이야기에서 흑백 모양의 정체 혹시 달이 없었다면? 달의 반대 측도 만조가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 지구의 유일한 위성인 달은 항상 우리들과 함께 있었다. 지구의 바다에서 처음으로 생명이 탄생했을 무렵 지구가 냉각해서 바다가 되기 이전부터 지구의 둘레를 몇 십억 년이나 공전하고 있다. 지금은 밤하늘에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빛나는 달이다. 그러나 그 이야기는 놀라울 정도로 파란만장한 것이다. 달이 형성된 것은 약 45억 년 전의 일이다. 태양계는 막 태어났을 뿐으로 혜성이나 운석, 소혹성이 여기저기서 충돌하고 있었다. 그러한 충돌의 하나로서 지구와 화성 사이즈의 천체가 충돌했을 때 열로 녹은 암석이 우주공간에 튀어나가서 그 일부가 모여서 냉각하여 굳어지고 달이 되..

지구에서 보는 태양과 달은 어째서 거의 같은 크기로 보이는가.

지구에서 보는 태양과 달은 어째서 거의 같은 크기로 보이는가. 태양은 달에 비하여 훨씬 큰 천체이다. 실제 그 크기가 어느 정도 다른가 하면 태양의 직경이 약 139만2000Km인데 대하여 달의 직경은 약 3475Km이다. 태양은 달에 비하여 약 400배나 크다. 그러나 지구에서 바라볼 때 이 2개의 천체는 거의 같은 크기로 보인다. 그 이유는 지구에서 보아서 달 보다 태양은 더 멀리 있기 때문이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는 약 1억4960Km이다. 한편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약 38만Km이다. 그 크기와 달리 태양은 달에 비하여 약 400배나 멀리 위치해 있다. 이처럼 태양과 달은 크기나 거리가 같이 400배나 다르므로 지구에서 볼 때 거의 같은 크기로 보이지만 이 일치는 단순한 우연에 지나지 않..

46억 년 전 태양이나 지구는 어떻게 해서 탄생하였는가?

46억 년 전 태양이나 지구는 어떻게 해서 탄생하였는가? 지구가 탄생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46억 년 전이다. 태양이나 다른 혹성과 함께 태어났다고 생각된다. 우주에 널려있는 작은 가스나 먼지(성간운)가 중력의 영향으로 한 곳에 모이기 시작한 것이 그 발단이다. 성운간은 일단 모이기 시작하면 천천히 회전하면서 커다란 덩어리를 만들기 시작하여 점차 중심부로 향하여 수축하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그 결과 원반상의 모양이 되어 중심부의 밀도도 상승한다. 마침내는 핵융합반응을 일으켜서 빛나기 시작한다. 이 때에 생겨난 것이 원시 태양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후 원시 태양의 주변을 둘러싼 가스나 먼지는 우주공간으로 열이 도망침에 따라 응축하여 충돌과 합체를 반복하여 거대화한다. 수 천 년에 걸쳐서 직경 10Km나..

코로나의 화를 겪고서(후편)

코로나의 화를 겪고서(후편) 새로운 것만이 아니라 뽑아낸 것 안에 있는 재미를 살려나간다. 오늘 말하고 싶은 것은 어머니와 아들도 발개 벗으면 생물이라는 것이다.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탕, 보노보, 그리고 사람이다. 하나의 벗들인데 DNA로 서로 약간의 퍼센트 밖에 틀리지 않는다. 그런 정도로 가깝다. 1, 생물의 세계에서 배우는 것은 많다. 선조의 세포가 있어서 점점 진화해서 여러 가지 생물이 태어났다. 그 중에서 침팬지와 사람의 공통선조로부터 태어난 사람만이 이족보행으로 서게 되었다. 그것이 우리들을 특별한 존재로 하였다. 피라미드를 만들고 문명을 구축하는 존재가 되었으나 생물 전체의 세계에서 배우는 것은 많이 있는데 한 쪽만(인간만이)으로 살아가는 것은 아쉽다고 생각한다. 여러분 라고 말한다. 코..

과학/과학 2021.07.26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5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5 15, 시계바늘은 어째서 오른쪽으로 도는가? 시계바늘은 어느 쪽으로 도는가. 물론 오른쪽으로 돈다. 오른 쪽으로 도는 것을 왼쪽을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스위스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일본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모두 오른쪽으로 돌므로 해외에서 만들어진 시계를 그날부터 일본에서도 쓸 수가 있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지장 없이 쓸 수가 있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는 통일되지 않는 일이 많다. 아마도 통일되어 있는 것은 적다고 말하는 것이 바를 것이다. 도로의 우측통행이나 좌측통행도 전압도 100볼트 220볼트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자동차도 핸들이 왼쪽에 있는 것과 오른쪽에 있는 것이 있고, 가전제품에 쓰이는 콘센트는 세계 공통이 아니다...

과학/과학 202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