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절대시간 3

아인슈타인의 늘었다 줄었다 하는 <상대시간>

아인슈타인의 늘었다 줄었다 하는 1, 아인슈타인의 19세기에 들어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마흐가 우주의 모든 물질이 없어진다면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으므로 시간 그 자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물질과의 상대적 관계로 존재한다는 개념 을 주장하였다. ===*에른스트 마흐(Ernst Waldfried Josef Wenzel Mach、1838-1916)=오스티리아의 물리학자, 과학사가, 철학자. === 이것이 독일 물리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아인슈타인은 1905년에 발표한 특수상대성이론에서 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는 것이 되고 또 그 때까지의 물리이론에서는 개념상 떨어져 있던 시간과 공간을 연결하여 시간과 공간이 일체가 된 이라는 개념..

과학/시간 2020.11.23

뉴톤의 어디서나 균일하게 나가는 <절대시간>

뉴톤의 어디서나 균일하게 나가는 1, 시간은 항상 일정한 속도로 흘러가는 것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6년 무렵에 진자가 달린 시계를 완성한 후 보다 정확한 기계식시계가 보급하는 데 따라서 고 하는 개념이 정착되어 갔다. 그것을 상식으로 하여 일반에게 정착시킨 것이 영국의 과학자 아이작 뉴톤이다. 그가 1687년에 발간한 라는 책에 도입한 개념은 다시 고 하는 것이었다. 이 과 을 기초로 세운 것이 소위 으로 그 후의 과학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후에 아인슈타인에 의하여 매우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때와 같은 특수한 환경 하에서는 반드시 이 생각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부정하고 마는데, 시간의 개념을 과학적으로 정착시키는 데에는 가장 유명한 이론으로 현대인의 시간관에는 아직 이 생각이 지배적이다. =..

과학/시간 2020.11.21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1, 고대로부터의 종교에서의 시간의 개념. 고대 이집트, 그리스, 마야 등의 많은 고대문명의 종교에서는 신들이 창조한 세계는 창조--존속--종말--파멸...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원환적(圓環的)인 구조로 되어있어서 무한 반복하므로 시간은 같은 길을 거친다고 하는 의미로 거꾸로 되돌아오는 것도 반복도 가능한 것 혹은 그러면서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었다. 또 불교나 힌두교 등의 인도철학이나 동양사상에서도 윤회전생이라고 해서 죽어서 저 세상에 돌아간 영혼이 몇 번이나 바꾸어 태어난다는 생각이 있었다. 유대교에도 일보 원환적인 시간관이 보이는데 기독교에서는 신의 계시에 따른 예수 크리스트의 이 세상에로의 도래와 죽음. 부활은 불가역적으로 반복 불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

과학/시간 202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