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13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 (5)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5) -생물의 진화를 입의 발달에서 생각해 본다.- 7, 사람이라면 붉은 입술은 무슨 때문에 있는가? 본래는 소화기관의 입구의 둘레에 지나지 않았는데 빈번히 움직여서 얼굴 중에서는 눈에 뜨이는 입술도 잊어서는 안 된다. 사람에게 특유의 입술은 해부학으로서는 이라 불려서 피하지방이 없으므로 모세혈관이 통하여 붉게 보인다. 일반적으로는 적순연이 있는 것은 아기가 유두를 잘 빨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사람 여성의 유방은 다른 포유류와 달라서 피하지방이 많으므로 유두가 박혀있기 때문이다. 유방에 피하지방이 많은 것은 둥근 엉덩이의 매력이 여기로 전화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웃거나 달콤한 말을 하거나 하여 미묘하게 움직이는 입술이 강렬한 섹스어필이 되는 것은 누구나 ..

과학/과학 2021.09.10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2)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 (2) -생물의 진화를 입의 발달에서 생각해 본다- 3, 최초에 입이 있다. 신체의 여러 부분을 앞으로 하여 움직이는 동물에게서는 입이 어디에 있어도 좋았는지 모른다, 일정한 방향으로 꽤 빨리 움직이는 동물에게서는 입이 앞에 있으면 먹이를 많이 잡을 수 있다. 좌우 상칭인 동물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방향으로 비교적 빨리 움직여(빨리 움직이기 때문에 좌우 상칭이 되었다고도 말한다.) 그 방향이 이 된다. 전단(前端)이 변화하는 외계에 최초로 만나는 것이다. 먹이에 최초로 가까이 하는 것도 전단이다. 따라서 전단에 입이 있고 그 밖의 감각기도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꾸로 보면 입을 앞으로 하고 일정 이상의 속도로 움직이면 먹이가 들어오므로 그런 동물에 얼굴이 되었다고도 ..

과학/과학 2021.09.07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 (1)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1) -생물의 진화를 입의 발달에서 생각해 본다.- 태초에 생물은 목숨을 이어가기 위하여 에너지 흡수가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막(膜)을 통하여 흡수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 곧 신체의 앞에 받아들이는 입을 설치한 것이다. 이 때 의 역사는 막을 열었다. 이윽고 받아들이기만 하는 구멍(穴)은 저작기능을 획득하고 식성의 변화와 더불어 로서 복잡하게 변화해갔다. 이글에서는 얼굴의 오리지널 구조라 할 수 있는 입을 중심으로 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1, 당신의 얼굴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의 결정이다. 여러 가지 물질과 에너지가 출입하는 것은 얼굴이다. 정보도 발신한다. 기관마다 그 종류를 나타낸다. 당신이 거울을 보면 그것은 당신이 남에게 보이는 당신..

과학/과학 2021.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