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원자 5

노벨 물리학상, 양자정보과학연구의 구미 3씨에게

노벨 물리학상, 양자정보과학연구의 구미 3씨에게 스웨덴의 왕립과학아카데미는 4일(2022년 10월) 2022년의 노벨물리학상을 프랑스의 아랑 아스페(Alain Aspect, 1947년 6월 15일 - ) 박사(75) 등 구미의 3씨에게 수여한다고 발표하였다. 미국의 존. F. 클라우사(John Francis Clauser、1942년 12월 1일 - ) 박사(79)와 오스트리아의 안톤 제일링가(Anton Zeilinger, 1945년 5월 20일 - ) 박사(77)가 함께 수상한다. 수상 이유는 이다. 양자역학의 이론을 발전시켜 개발이 가속하고 있는 양자컴퓨터에 이어지는 업적이 평가되었다. 일본인 수상자는 없었다. 양자역학은 원자나 광자 등의 미세한 입자의 거동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들의 입자에 짝(한쌍..

과학/과학 2022.10.06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는 참말인가? 상대론과 나란히 2대 물리이론. 양자역학은 세계를 보는 방법을 근간으로부터 바꾸었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양자역학이 제시한 세계관. 물질관에 맹렬히 다른 주장을 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 창시자의 한 사람 *닐스 보아와 격한 논전을 반복하였다. 커다란 물음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의 100년을 극명하게 둘러본 근간 (筑摩書房)이 화제가 되고 있다. 동서의 번역을 담당한 요시타미치요(吉田三知世) 씨에게 그 깊은 매력을 들었다. ===*보아(Niels Henrik David Bohr) [1885〜1962]데나크 이론물리학자. 양자가설(量子假説)의 도입으로 원자구조를 해명하여 원소의 주기율을 설명함. 상보적원리(相補性原理)의 제창 등 원자물리학의 진보에 공..

우주 종언의 시나리오 <빅립>이란? (3/3)

우주 종언의 시나리오 이란? (3/3) -모두가 산산이 흩어지다.- 분자나 원자 레벨로 산산이 흩어지다. 척력적 중력은 서서히 강해져서 언젠가는 물질을 합치고 있는 모든 힘에 승리하여 일체를 산산이 끌어 찢어낼 것이다. 당신의 신체가 하나로 합쳐져 있는 것은 당신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와 분자를 결합시키고 있는 전자력과 당신의 체내의 원자에 함유된 양자와 중성자를 결합시키고 있는 강한 핵력 덕분이다. 전자력과 핵력은 현시점에서의 팽창공간의 척력보다도 훨씬 강하기 때문에 당신의 신체는 하나로 합쳐져 있다. 혹시 당신의 횡폭이 넓다고 해도 그것은 공간의 팽창 때문이 아니다. 그러나 혹시 척력이 점점 강해지고 당신을 하나로 합치고 있는 전자력과 핵력에 이긴다면 당신의 체내의 공간은 팽창하기 시작할 것이다. 당신..

환경. 우주 2022.03.30

원자력 잠수함이 오래 잠수할 수 있는 이유

원자력 잠수함이 오래 잠수할 수 있는 이유 1954년 세계처음으로 원자력잠수함인 미국의 잠수함 진수식이 거행되었다. 원자력 잠수함은 그 이름 그대로 원자력을 동력으로 하여 구동하는 잠수함을 말한다. 디젤엔진과 축전지에 의하여 구동하는 통상의 잠수함과는 달리 원자력 잠수함은 반영구적으로 잠수가능하다는 가치가 있다. 왜냐하면 고농도의 핵연료는 수십 년에 걸쳐 원자로를 가동시킬 수가 가능하고 연료보급이 거의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료 걱정 없이 원자로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해수를 증발시켜서 단물을 생산할 수도 있고 그것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선원이 산소를 확보하기 위하여 부상할 필요도 없고 연속 잠항거리를 다시 연장할 수가 있다. 그런 이유에서 원자력 잠수함..

과학/과학 2021.08.06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2 12, 광격자시계(光格子時計) 2015년 3월 도쿄대학대학원의 가도리히데도시(香取秀俊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는 160억년에 1초 밖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획기적인 것이다. 현재 공인 상 가장 정확도가 높은 세슘원자를 사용한 것은 10^15(10의 15승)의 정확도이고, 이것은 3000만년에 1초 정도 어긋나는 데 대하여 가도리연구실의 것은 10^18의 정확도이다. 극저온으로 한 원자를 빛의 파장 이하의 미소영역 에 가두어서 그 포텐샬(potential/잠재력) 에 의한 공명주파수에 대한 섭동(攝動)을 영으로 한다고 하는 상반되는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성공하였다. 지금까지의 정확도라면 일정불변인 물리정수(物理定數)의 시간변화마저 관측가능하게 된다. 곧 우주의 탄생이라 ..

과학/과학 202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