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시간학연구소 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3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3 3, 장소를 가리지 않는 물시계 해시계는 훌륭한 발명이었지만 생활에 사용하기에 사람들은 결점을 통감하게 되었다. 일광이 충분하지 않은 장소나 시간 곧 하늘을 볼 수 없는 방안이나 야간, 흐린 날에는 전혀 기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류가 생각해낸 것이 물시계이다. 원리는 같은 구멍에서 흘러나오는 물의 양은 시간당 일정하다는 것을 응용한 것이다. 그것도 고대인 누군가가 물방울을 관찰하는 사이에 시간과 물 사이의 관계를 발견하여 시계에 응용한 것일 것이다. 기본원리는 간단하지만 용기의 모양이나 담겨진 물의 양은 수압이 변하고 배출되는 양이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물시계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현존하는 최고의 것은 기원전 1400년경의 이집트에서 아메노피스왕..

과학/과학 2021.06.29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2 2, 해시계 당초의 해시계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이 일반적으로 해 그림자 막대(日影棒)의 방향 각도와 길이로 대강의 시간을 헤아리는 정도였으나, 원판의 중심부에 막대를 꼽아 그대로 지면에 세운 것 같은 , 건물의 벽 등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게 간소화된 등 여러 가지 것이 있었다. 해시계는 과학 지식을 배우면 어디서나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수 점검할 필요도 없는 것이므로 전 세계에 퍼져서 중근동. 그리스, 로마 등에서 다시 발전한다. 천문학이나 철학이 발달했던 그리스에서는 기원 전 4세기에 철학자로 유명한 풀라톤(PlátōnBC427년-BC347년)이 아테네 교외에 시각에 더해서 천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천문시계를 만들었다. 같은 무렵 ..

과학/과학 2021.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