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바이러스 13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어째서 기생충은 중요한가.(1) -그 놀라운 전략과 역할이란- 기생은 공생의 일종, 세계적인 보호계획도 제창되고 있다. 기생충이라고 하면 대개의 사람들은 끔찍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기생충을 나타내는 라는 영어의 어원은 라는 그리스어이다.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스미소니안국립박물관의 진화생물학자 지미 바노트 씨에 따르면 기생은 이다. 그런 점에서 기생생물은 조금 존경받아도 좋을 것이 아닌지 모른다. 기생이라는 형태는 동물, 식물, 균류, 세균 그리고 바이러스까지 모든 생물에 걸쳐있다. 흡혈박쥐나 작은 수놈과 암놈이 일체화하여 생식하는 *초롱아귀 등은 그 다양한 형태의 좋은 예이다. ===*초롱아귀는 초롱아귀과에 속하는 육식어류이다. 수심 800m 이하의 심해에서 서식한다. 몸은 럭비공처럼 생겼고 뼈 돌기 ..

과학/과학 2022.01.05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3, 끝이 없는 싸움 인류와 감염증은 끝이 없는 싸움을 계속하게 된다. 왜냐하면 세균, 바이러스는 변이하여 모양을 바꾸어서 습격해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익숙해진 인플루엔자이지만 정기적으로 백신을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그 해에 따라 유행하는 바이러스 타입이 다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도 변이속도가 빠르고 수개월로 기존의 약이 듣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감염증을 천연두처럼 근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야생동물은 여러 가지 바이러스를 체내에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변이하여 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스나 에볼라 출혈열은 박쥐유래라고 한다. 사람이 박쥐를 먹고서 감염한다. 거기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

과학/과학 2021.09.29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3, 끝이 없는 싸움 인류와 감염증은 끝이 없는 싸움을 계속하게 된다. 왜냐하면 세균, 바이러스는 변이하여 모양을 바꾸어서 습격해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익숙해진 인플루엔자이지만 정기적으로 백신을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그 해에 따라 유행하는 바이러스 타입이 다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도 변이속도가 빠르고 수개월로 기존의 약이 듣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감염증을 천연두처럼 근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야생동물은 여러 가지 바이러스를 체내에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변이하여 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스나 에볼라 출혈열은 박쥐유래라고 한다. 사람이 박쥐를 먹고서 감염한다. 거기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켜 ..

과학/과학 2021.07.29

mRNA백신은 <진짜 병원체가 아니라 설계도>지금 알아두어야 할 지식

mRNA백신은 , 지금 알아두어야 할 지식 미국국립연구기관 연구원으로서 바이러스학. 면역학 전문인 미네슈타로오(峰宗太郎) 의사가 이제 알아두어야 할 백신 지식을 해설한다. 백신 유효성 안전성의 높음에 한 연구자로서 놀란다. mRNA 백신의 분명한 효과 정직하게 말하자면 작년 여름 무렵 아직 백신 연구개발이 진행되는 단계에서는 이 여기까지 성공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었다. 도대체 어느 정도로 효과가 있는지 백신 유효성에 대하여 회의적으로 생각할 정도였다. 그러나 지난 해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서 여러 가지 데이터가 갖추어짐에 따라 매우 유효성이 높다고 판명하여 연구자로서 꽤 놀랐다. 안전성에 관해서도 거의문제가 없다고 알고 있다. 유효성. 안전성이 함께 매우 좋은 백신이라고 확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백신에 ..

과학/과학 2021.05.20

코로나 백신 접종 후의 드문 혈전증,

코로나 백신 접종 후의 드문 혈전증, -, 진행하는 연구- 미국 존슨 앤드 존슨 제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은 일시적으로 접종이 정지되었다. 미국 연방보건당국이 드믄 혈전증의 원인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 존슨 앤드 존슨사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사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에 대하여 접종 후 드물게 심각한 혈전이 생기는 사례가 보고되어 연구자들이 원인과 대처법 해명을 진행하고 있다. 뇌정맥동혈전증(脳静脈洞血栓症)(CVST)이라 불리는 이 질환은 뇌에서 혈액이 나오는 정맥동이라 불리는 부위에 혈전이 생겨서 증상이 나타나고 뇌졸중이나 다른 뇌 장해를 이끌어 낸다. 미국연방보건당국은 4월 13일 국내의 6명의 여성에게서 접종 후 2주간 이내에 뇌에 혈전에 생겼다는 보고를 받아 존슨 앤드 존슨 제 1회 접종..

과학/과학 2021.04.19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감염자가 적은 이유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감염자가 적은 이유 -팩터X, 금후 대책의 열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발생하여 유행하기 1년이 되었다. 그 후 유행은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서 감염의 확대에 다름이 있다. 대강 유럽이나 중남미에서는 감염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한편 아시아 아프리카에서는 감염자수가 꽤 적은 상황이다. 그래서 유행의 지역차가 어째서 일어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중세 페스트 유행에서도 일어난 지역 차 14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확대한 페스트(흑사병)의 유행은 전 세계적으로 약 7000만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이 유행은 유럽의 거의 전 지역에 미쳤으나 유행을 면한 지역도 있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의 밀라노도 그 하나이다. 이 시대에 밀라노는 비스콘티가가 독재제를 취..

과학/과학 2021.03.22

인구의 ⅓을 사망하게 한 <흑사병>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인구의 ⅓을 사망하게 한 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노동력 부족으로 사회는 붕괴, 그래도 무서운 역병에 가 있었다. 순식간에 세계를 크게 변하게 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우리들의 생활이나 사회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하고 걱정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를 크게 변화시킨 펜데믹을 인류가 경험하는 것은 처음이 아니다. 그 가장 큰 것은 중세의 이다. 역사상 흑사병의 큰 펜데믹은 3번 있었다. 1665년의 영국 런던이나 19세기-20세기에 걸쳐서도 맹위를 떨쳤으나 사상 최악의 규모였던 것은 1347년에서 1351년에 걸쳐 유럽을 엄습한 흑사병이다. 당시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목숨을 잃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적리, 인플루엔자. 마진, 그리고 매우 무서운 한센 병 등 많은 전염병이 ..

과학/과학 2021.01.26

'진화의 법칙'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약독화할 가능성

‘진화의 법칙’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약독화할 가능성 물질인데 자연도태가 작용한다?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세포를 이용하여 자신을 복제시키는 물질이라고들 말한다. 이것은 오류는 아니지만 바이러스의 설명으로서는 불충분하다. 정확하게는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세포를 이용하여 자신의 복제를 많이 복제시키는 물질이다. 혹시 자신이 소멸하여 대신에 복제를 하나 만든다면 그것은 바이러스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런 경우는 바이러스가 증식하지 않으므로 자연도태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물에게는 자연도태가 작용하지만 물질에는 자연도태가 작용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물론 생물도 물질로 되어 있지만 본고에서는 은 이라는 의미로 쓰기로 한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물질인데 자연도태가 작용하는 진기한 존재이다. 물질과..

과학/과학 2020.12.18

7종류가 있다고 알고 있다?

7종류가 있다고 알고 있다? 신종코로나백신에 대해서 알아 두어야 할 일 전 세계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되고 있다. 세계에 유행이 계속되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다. 유행을 근본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전 세계에서는 200 이상의 백신 개발 프로젝트가 급피치로 진행되고 있다. COVID-19 백신 개발은 누구나 시작한다. 가령 개발이 잘 된다고 해도 백신의 효과의 대소나 계속기간, 부작용 유무 등 미지수의 점도 아직 있다. 국립감염증연구소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연구센터(일본)에서 자신도 COVID-19의 백신 개발에 당하고 있는 하세가와히데키(長谷川秀樹) 센터소장에게 전 세계에서 개발되고 있는 백신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을 들었다. 백신이란 무엇인가? 백신은 병원체(병을 일으키는 ..

과학/과학 2020.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