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문학 3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6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6 6, 간편하다고 평가되던 모래시계 라면 누구나 모래시계를 생각할 것이다. 문학작품이나 시가에도 많이 인용되고 있다. 모래가 걸림이 없이 차례대로 마끌어져 내리는 모습을 보고 매료되어 그야말로 시간이 경과하는 것 마저 잊어버릴 것 같아진다. 사용방법은 양리형의 유리구슬 2개를 이은 모양의 그릇의 한 쪽에 모래를 채워서 모래가 담긴 쪽을 위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두면 위에서 모래가 미끄러지며 떨어진다. 모래 모두가 아래 그릇에 떨어진 순간이 그 시계가 설치된 소정의 시간의 종료를 나타낸다. 모래의 양(그릇의 크기에 비례한다)으로 떨어져 종료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서 뒤집어 되풀이함으로써 계측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모래시계는 당초에 기계식 시계와 함께 정전사(錠前師/자물쇠 ..

과학/과학 202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