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동경90도해령 2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7)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7) --인도양은 어떻게 해서 생겼는가?-- 진북(眞北)을 가리키는 가늘고 긴 창, 유일무이한 직선지형 과거 2억 년에 걸쳐 인도양에서 벌어진 장대한 대륙이동의 역사를 개관해 보았다. 이 역사를 근거로 하여 동경90도해령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인도대륙이 남극대륙이나 호주대륙에서 조금씩 떨어져 나가기 시작한 약 2억 년 전 인도대륙과 호주대륙 사이에는 양자를 끌어 떨어지게 하는 해저확대축이 있었다. 그 근방에 우연히 호트스포트(hotspot=마그마에 의한 화산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가 생긴 것이다. 거기서는 대규모의 분화활동이 계속되어 차례차례로 해저화산이나 화산도를 생기게 하였다. 호트스포트란 맨틀의 심층부에서 마그마가 상승하는 단독화산활동이다. 이 때 인도대륙과 호주대륙..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인도양 해저를 만드는 3개의 플래트(plate) 인도양의 심해저는 3대의 중앙해령을 경계로 해서 주된 3장의 플래트로 구분된다. 그 3개란 아프리카플래트, 남극플래트, 호주플래트이다. 인도반도 일대는 인도 플래트라 불린다. 일찍이 인도플래트와 호주플래트는 따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런데 현재에는 이들 2개의 플래트는 거의 일체가 되어서 움직인다. 그래서 양자를 합쳐서 라 불리기도 한다. 인도양 주변에는 기타 아라비아반도를 내포하는 플래트가 있어서 다시 북방에는 거대한 유라시아 플래트가 펼쳐져있다. 이상 6장의 플래트가 인도양에서 확대했다가 부닥쳤다가 한 결과 대륙의 배치가 조금씩 변하여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인도양의 중앙이나 동쪽에 이라는 불가사의한 이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