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남반구 2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5)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5) --인도양은 어떻게 해서 생겼는가?-- 인도양의 탄생 중생대도 쥬라기에서 백아기에로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육지의 형상은 현재의 모양에 가까워진다. 그 과정에서 어떻든 눈을 뺏기는 것이 인도대륙(인도아대륙이라 부르기도 한다)의 움직임이다. 판게아의 일부였던 무렵의 인도대륙은 현재의 남극대륙. 아프리카대륙. 호주대륙과 인접하여 현재의 위치와는 떨어진 남반구에 있었다. 그것이 판게아의 분열과 함께 차차 북상하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남극대륙. 아프리카대륙. 호주대륙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떨어져 나갔다. 인도양 탄생의 때가 왔다. 실은 이라는 호칭이 어느 시대부터 지도상에 기재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것 같으나 여기서는 이들 4개의 대륙(인도대륙, 남극대륙, 아프리..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5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5 15, 시계바늘은 어째서 오른쪽으로 도는가? 시계바늘은 어느 쪽으로 도는가. 물론 오른쪽으로 돈다. 오른 쪽으로 도는 것을 왼쪽을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스위스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일본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모두 오른쪽으로 돌므로 해외에서 만들어진 시계를 그날부터 일본에서도 쓸 수가 있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시계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지장 없이 쓸 수가 있다. 그러나 전 세계에서는 통일되지 않는 일이 많다. 아마도 통일되어 있는 것은 적다고 말하는 것이 바를 것이다. 도로의 우측통행이나 좌측통행도 전압도 100볼트 220볼트로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자동차도 핸들이 왼쪽에 있는 것과 오른쪽에 있는 것이 있고, 가전제품에 쓰이는 콘센트는 세계 공통이 아니다...

과학/과학 202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