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관측 6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3/3)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3/3) 우주팽창 최초의 순간 젊은 포스트독(Postdoctoral Researcher혹은 Postdoc/박사 연구원)이었던 알란 구스(Alan Harvey Guth、1947년 2월 27일 -, 미국 우주물리학자. 인플레이션이론 제1인자) 가 빅뱅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었을 때의 일로, 척력적 중력이 있다면 우주의 귀찮은 수수께끼 하나가 풀릴는지 모른다는 것을 느꼈다. 관측에 따르면 우주는 분명히 팽창하고 있다. 아인슈타인 방정식도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방정식은 140억 년 전에 시작한 이래 오늘까지 계속하는 팽창을 개시시킨 것이 어떤 힘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닫은 채로였던 것이다. 그 문제를 수학적으로 조사해본 구스는 1979년..

환경. 우주 2022.06.03

마음과 의식의 수수께끼는 양자물리학으로 해명되는가?(2/2)

마음과 의식의 수수께끼는 양자물리학으로 해명되는가?(2/2) 양자역학의 측정문제 이것은 너무나 기묘한 이야기로서 경험에 반하기 때문에 그런 이론은 곧 버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는지 모른다. 그래서 혹시 양자역학이 어림도 없이 높은 정도로 실험 데이터에 맞지 않는다면 당신의 그 반응은 단순히 일반적일 뿐 아니라 바른 반응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보는 한 양자역학은 최대급으로 존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우리들 과학자는 직관에 반하는 양자역학의 이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을 계속해 왔다. 문제는 그래서 연구하면 할수록 이야기가 이상하게 된 것이다. 양자역학의 방정식 중에는 많은 가능성이 흐리멍덩하게 섞인 상태에서 측정결과로서 얻어지는 하나의 확정한 상태로 실재가 어떻게 해서 이행..

과학/과학 2022.05.20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는 참말인가? 상대론과 나란히 2대 물리이론. 양자역학은 세계를 보는 방법을 근간으로부터 바꾸었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양자역학이 제시한 세계관. 물질관에 맹렬히 다른 주장을 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 창시자의 한 사람 *닐스 보아와 격한 논전을 반복하였다. 커다란 물음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의 100년을 극명하게 둘러본 근간 (筑摩書房)이 화제가 되고 있다. 동서의 번역을 담당한 요시타미치요(吉田三知世) 씨에게 그 깊은 매력을 들었다. ===*보아(Niels Henrik David Bohr) [1885〜1962]데나크 이론물리학자. 양자가설(量子假説)의 도입으로 원자구조를 해명하여 원소의 주기율을 설명함. 상보적원리(相補性原理)의 제창 등 원자물리학의 진보에 공..

우주의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주의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전문가에게 들어본다.- 1, 우주의 끝=관측의 한계 신 캐롤(Sean Carroll) 캘리포니아대학공과대학물리학연구교수. 양자역학, 중력, 우주론, 통계역학, 기초물리의 연구에 종사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우주의 끝은 없다. 관측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것이 우리들로서는 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빛이 진행하는 속도가 유한(매년1광년)이기 때문에 먼 것을 볼 때는 시간적으로도 거스르게 된다. 그래서 볼 수 있는 것은 약 140억 년 전, 빅뱅에서 남은 방사선이다. 우주마이크로파배경방사라고 불리는 것으로 우리들을 전 방향에서 둘러싸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이라고 하는 셈은 아니다. 우리들에게 보이는 우주에는 한계가 있고 저 쪽에 무엇이 있는지는 모른다. 우주는 큰 ..

환경. 우주 2021.02.08

달 표면은 물투성이이다.

달 표면은 물투성이이다. NASA는 라는 빅뉴스를 전하고 있다. 달 표면에는 물 분자가 이르는 곳마다 흩어져 있어서 태양광이 비치는 곳이나 전혀 받지 않은 영구 음영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 된 것 같다. 고 하는 것은 오랜 동안 말해왔으나 이번의 연구로 처음으로 물 분자의 존재를 확인한 듯하다. 이하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발견의 의의 학술지 『Nature Astronomy』에 2020년 10월 26일부로 발표된 2건의 연구논문은 달에 이라는 생명에 빠질 수 없는 귀중한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저장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전부터 달 표면 특히 달의 극 부근에는 물이 얼음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고 말해왔는데 직접적인 증거는 얻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 와서 마침내 물 분자의 존재가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

환경. 우주 2020.11.04

63.어느 천문학자

63.어느 천문학자 어느 천문학자가 밤이 되면 자주 별을 관측하기 위하여 교외로 나갔다. 어느 날 밤 그는 별에 눈이 팔려서 실수하여 깊은 우물에 빠지고 말았다. 그는 몸에 상처를 받고 비명을 질렀다. 그 소리를 듣고 근처 사람들이 우물로 달려 왔다.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고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천국을 살피기에만 제정신을 잃지 말고 조금은 발밑에 주의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