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에 식욕감퇴 작용 있다.--그러나 담배는 위험하다 니코틴에 식욕감퇴 작용 있다.--그러나 담배는 위험하다 <워싱톤=야마타(山田哲朗).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이 뇌에 작용하여 식욕을 감퇴시키는 구조를 미국 에루대학의학부 등의 연구팀이 해명하여 10일자 미과학지 사이언스에 발표하였다. 연구팀은 마우스를 쓴 실험에서 니코틴이 뇌 내의 신호전.. 과학/과학 2011.06.11
안전한 iPS세포, 효율적으로 제작--교토대학그룹이 안전한 iPS세포, 효율적으로 제작--교토대학그룹이 여러 가지 조직의 세포로 변화할 수 있는 iPS세포(신형만능세포)의 제작 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데에 교토대학 야마나카(山中伸弥) 교수와 마에가와(前川桃子)조교 등의 그룹이 성공했다. 제작에 암유전자를 쓰지 않는 방법으로 암화의 위.. 과학/과학 2011.06.09
휴대전화로 뇌종양 가능성?---위험도 커피 수준 휴대전화로 뇌종양 가능성?---위험도 커피 수준 (제네바=사토(佐藤昌宏)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문조직인 <국제암연구기관>(본부 프랑스 리용)은 31일 휴대전화가 내는 전자파로 뇌종양에 걸릴 위험성이 한정적이지만 인정된다는 견해를 발표하였다. 국제암연구기관은 견해 중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과학/과학 2011.06.08
iPS세포로의 변신은 특정 세포만 가능하다.- iPS세포로의 변신은 특정 세포만 가능하다.- 여러 가지 세포로 변화시킬 수 있는 <만능성>을 가진 iPS세포(신형만능세포)를 인간의 피부로 만들 때 극히 약간 섞인 특정의 세포만이 iPS세포가 된다는 것을 동북대학의 <데사와>(出澤眞理) 교수 등이 밝혀내었다. 이 세포는 원래 만능성을 갖추고 .. 과학/과학 2011.06.05
인간의 피부에서 신경세포--lPS 세포를 쓰지 않고 성공 인간의 피부에서 신경세포--lPS 세포를 쓰지 않고 성공 인간의 피부세포에서 여러 가지의 세포로 변화할 수 있는 iPS세포(신형만능세포)를 거치지 않고 신경세포로 직접 변화시키는 데에 미국 스탠포드대학 연구팀이 성공했다. 피부 등의 세포에서 목적 세포를 직접 만드는 <다이렉트 리프로그래밍>.. 과학/과학 2011.05.28
세슘을 굳히는 신재료개발--요염수 처리에 기대 세슘을 굳히는 신재료개발--요염수 처리에 기대 반감기가 30년인 방사성물질 세슘137를 고체화하는 신재료를 물질재료연구기구(이바라기 츠쿠바시)가 개발했다. 도쿄전력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로 누출된 세슘 처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세슘은 확산되기 쉽.. 과학/과학 2011.05.20
커피, 전립선암 예방에 도움 커피, 전립선암 예방에 도움 .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으로 전립선암을 예방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이 전립선암을 예방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 보건대학원의 캐스린 윌슨(Kathryn Wilson) 박사는 커피.. 과학/건강 관리 2011.05.19
눈에 보이지 않는 적 ‘감마선’ 눈에 보이지 않는 적 ‘감마선’ ‘감마선’이란 방사성물질에서 전파처럼 방사된다. 종이나 얇은 금속은 투과해버린다. 따라서 방사성물질에 접촉하지 않아도 피폭하게 된다. 납이나 두꺼운 철판이 아니면 차단되지 않으므로 방사성물질의 흡입이나 부착을 막는 보통 방호복으로는 효과가 없다. (20.. 과학/과학 2011.03.27
방사성물질과 물에 대한 문답 방사성물질과 물에 대한 문답 방사성물질이 수돗물에서 검출되었다. 물에 대한 의문점을 전문가에게 묻는다. 문 ; 방사성물질은 시판되는 정수기로 여과되는가? 답 ; 요드는 활성탄에 달라붙기 쉬운 성질이 있으므로 활성탄을 쓴 필터라면 시판 정수기라도 요드를 줄일 수 있는 일정 효과가 있다. 그.. 과학/과학 2011.03.24
피폭되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오는가? 피폭되면 건강에 어떤 영향이 오는가? (일본)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에서 방사선 물질의 방출에 따라 확산되는 주민의 피폭. 구체적으로 건강에는 어떤 영향이 오는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정문 가까이에서 13일 오전 8시 20분경에 기록한 매시 882 마리크로 시버트는 단시간의 피폭이라면 건강에 .. 과학/과학 201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