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생성하는 광물 자원
1, 고갈하는 자원과 해양에로의 기대
참으로 육상의 자원이 없어지고 있는가. 우리들은 금속을 쓰고 버리고 있는데 금속 그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단지 질이 좋은 광산이라든지 광석이 없어졌다. 굴착할 수 있는 광석이 감소하고 있다. 계속적인 자원공급이 필수이고 프론티아의 확대가 필요해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가장 알기 쉽고 가까운 것이 해양이다.
예를 들면 동이 약 0.3% 포함된 것도 육상에서는 동광석이라고 하고 있는데 해양에는 동이 1% 포한된 광석이 대량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일본 주변에는 풍부한 자원이 잠자고 있다고도 말한다.
단지 참으로 채굴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도 있다. 일종의 거품이 아닌지도 모른다. 계속적인 실태조사와 과학 연구를 계속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도 있다.
해양 자원은 육상의 자원보다 뛰어난 것인지 아닌지는 단언할 수 없다. 육상의 자원이 예상 외로 사용되어서 고갈되고 있다는 것과 굴삭이나 잠수기술이 향상된 점에서 갑자기 해양이 떠오르고 있다. 그래서 유엔 하에서 해저의 광물자원의 광업규칙이 정해지고 규칙에 합당하면 광구를 인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러 나라가 광구를 신청하여 인정을 받고 있다.
2, 바다 밑에는 어떤 자원이 있는가?
어느 정도 높은 농도와 종합 매장량, 크게 환경을 바꾸지 않고 채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해저 자원의 요건이다. 수심 200미터보다 깊은 미개발자원으로 이런 조건에 맞는 것으로서 철이나 망강 덩어리 등 퇴적기원인 것과 유황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산기원의 유화물이 있다.
화산기원의 유화물에는 금이나 은이나 동이 있다. 육상 광산의 대부분은 화산기원이다. 이에 필적하는 것이 육지의 연장으로서의 해저에 보인다. 퇴적기원의 산화물은 코발트, 닛켈, 백금, 레아아스 등이다. 그다지 농도가 높지 않으나 규모로서는 매우 크다.
어떻게 분포되어있는지는 대강 알고 있다. 해저화산이 있는 곳 플래트 경계로 격한 지질활동이 있는 곳의 변동대에 따라서 금이나 은, 동을 낳는 열수기원의 유화물이 존재한다. 퇴적기원의 산화물은 변동하지 않는 해저에 분포하고 있다.
일본 주변해역은 플래트가 충돌하여 지진을 발생시키고 화산이 일어나듯 격하게 변동하고 있다. 또 1억년이 넘는 오래고 안정된 해저도 있다. 이 양방의 해저가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 진기하다. 거기에 여러 가지 광물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잠수조사선으로 해저를 관찰한 영상에는 해저에 둥근모양의 검은 망강 덩어리가 분포하고 있는 모양이 보인다. 2킬로, 3킬로, 10 킬로로 이런 경치가 널려져 있다. 이것이 표준 해저의 모습이다.
3, 해저자원 개발의 전망과 과제
해저광물의 지원 개발이 육지의 지원개발과 다른 점은 국제법 하에서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나라로서 유엔으로서 인류로서 플러스가 되지 않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육상의 광산은 <화석>인데 해저의 광상(鑛床)은 해저의 극한 환경에서 지금도 생성중이라는 것이다.
육상자원의 고갈이 반드시 온다는 기운데 해저의 지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극한 규모의 심해에서 자원을 채굴하는 새로운 기술개발과 해저의 이해이다.
육상의 자원개발은 적어도 20-30년의 규모로 계획이 세워진다. 개발경험이 없는 해저지원을 개발하려면 그 이상의 계획으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러 가지의 기초연구와 해저의 굴삭이나 탐사 등 기술 분야의 개발 등이 채워졌다고 하더라도 개발을 둘러싼 환경영향도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3자가 일체가 되어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같은 연구자들은 정책을 판단하는 사람들에게 바른 식견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또 젊은
인개의 육성, 실태파악 등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고치(高知)대학 종합연구센터 우수이 아키라(臼井朗)교수의 강연 (요미우리신문에서)
'환경. 우주 >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탄생 1, 아무 것도 없는 곳에 걸린 지구 (0) | 2017.07.27 |
---|---|
지질시대연대표 (0) | 2017.03.02 |
남극의 빙하 밑 호수에서 다양한 미생물 발견 (0) | 2013.09.24 |
태평양에 세계 최대의 해저화산이 있다 (0) | 2013.09.09 |
에베레스트의 빙하가 50년간 14% 감소 (0) | 201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