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5

6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175)

6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175) 흙이나 나무로 인형을 만드는 사람은 귀와 코는 크게 하고 입과 눈은 작게 하기를 바란다. 흙이나 나무로 인형을 만드는 사람은 처음에는 귀와 코는 크게 만들고 입과 눈은 작게 만든다. 큰 코나 귀를 고치려면 깎아내야 한다. 작은 입이나 눈을 크게 하려면 이도 깎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형을 만들 때의 지혜인데 정치에 있어서도 역시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다. 무슨 일이나 아루려먼 몌측과 대비가 필요하가 함이다. 土木偶人者耳鼻欲大, 口目欲小.(宋名臣言行錄, 蘇頌) 토목우인자이비욕대, 구목욕소.(송명신언행록. 소송)

오늘의 명언 2023.06.24

사회성 획득으로 진화한 사람의 얼굴 (5/5)

사회성 획득으로 진화한 사람의 얼굴 (5/5) 개에게 물었다. --얼굴로 연애를 한다니, 천박하다.!?-- 기도(氣道)를 연구했지만, 잃어버린 고도의 후각 시스템 사람의 콧구멍은 아래로 향하고 있다고 지적당한 우리들 사람의 코는 어째서 아래로 향하고 있는 것일까? 개 등의 얼굴과 비강은 전후로 길고 비공(콧구멍)은 앞을 향하고 후비공(後鼻孔)에 이어지는 인두도 경사되었으므로 호기(날숨)도 흡기(들이는 숨)도 그다지 굽지 않고 비강을 통과한다. 털이 없고 언제나 습한 고무와 같은 비경(鼻鏡)이 있는데, 이것은 호기와 흡기의 기도(氣道)를 나누어서 냄새를 구분하여 맡는데 쓸모가 있고 시각보다 후각에 의지하여 사는 많은 포유류에 갖추어진 뛰어난 기능이다. 그러나 사람의 얼굴과 코는 호기나 흡기도 같이 외비강으..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 (1)

어째서 얼굴은 앞을 향해 있는가?(1) -생물의 진화를 입의 발달에서 생각해 본다.- 태초에 생물은 목숨을 이어가기 위하여 에너지 흡수가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막(膜)을 통하여 흡수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 곧 신체의 앞에 받아들이는 입을 설치한 것이다. 이 때 의 역사는 막을 열었다. 이윽고 받아들이기만 하는 구멍(穴)은 저작기능을 획득하고 식성의 변화와 더불어 로서 복잡하게 변화해갔다. 이글에서는 얼굴의 오리지널 구조라 할 수 있는 입을 중심으로 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1, 당신의 얼굴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의 결정이다. 여러 가지 물질과 에너지가 출입하는 것은 얼굴이다. 정보도 발신한다. 기관마다 그 종류를 나타낸다. 당신이 거울을 보면 그것은 당신이 남에게 보이는 당신..

과학/과학 2021.09.06

몸 각 기관의 싸움

몸 각 기관의 싸움 옛날 큰 싸움이 일어났다. 입과 귀와 코와 심장과 손과 발 등이 누가 가장 뛰어난지 말다툼이 벌어졌다. 하고 눈이 말하였다. 하고 귀가 말하였다. 하고 코가 말하였다. 하고 입이 말하였다. 그런데 손은 이렇게 말하였다. 발도 지지 않았다. 이렇게 말싸움을 하는 가운데 심장만은 잠자코 가슴 속에 가만히 있었다. 도두가 하는 말을 듣고 도대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고만 있었다. 여섯(입, 눈, 귀, 코, 손, 발)은 하루 종일 싸웠다. 누구도 양보하려 하지 않았다. 그로부터 9일 낮과 밤 동안 싸움은 계속되었다. 그래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누가 먼저 항복할 것인지 하고 생각만하고 있었다. 그런데 모두가 완강해서 항복하는 자는 없었다. 마침내 심장이 말하였다.

<미지의 장기> 발견

발견 -귀, 코, 목 질환에 새로운 연구 성과 기대- 관상선(管狀腺)은 비강과 인두의 교차부에 위치한다. 의사들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타액선이라 생각되는 것을 비강 안에서 발견하였다. 이 선이 새로운 장기로서 정식으로 명명되기에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 발견은 두경부 암이나 만성적인 귀, 코, 목의 병 치료에 영향을 끼친다. 네덜란드의 의사는 비강과 인두 사이에 숨어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장기를 발견했는지 모른다. 의사들은 우연히 이 선을 발견하였다. 전립선암 환자를 스캔한바 이 비강 안에 놀라운 사실이 있었다. 타액선처럼 보이는 2개의 평탄하고 꾸불꾸불한 구조물이 존재했던 것이다. 방사선종양학자인 워타 보겔(Wouter Vogel)은 보도자료에서 고 말했다. 새로운 연구결과 이 수수께끼..

과학/과학 2020.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