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창조 3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1, 고대로부터의 종교에서의 시간의 개념. 고대 이집트, 그리스, 마야 등의 많은 고대문명의 종교에서는 신들이 창조한 세계는 창조--존속--종말--파멸...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원환적(圓環的)인 구조로 되어있어서 무한 반복하므로 시간은 같은 길을 거친다고 하는 의미로 거꾸로 되돌아오는 것도 반복도 가능한 것 혹은 그러면서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었다. 또 불교나 힌두교 등의 인도철학이나 동양사상에서도 윤회전생이라고 해서 죽어서 저 세상에 돌아간 영혼이 몇 번이나 바꾸어 태어난다는 생각이 있었다. 유대교에도 일보 원환적인 시간관이 보이는데 기독교에서는 신의 계시에 따른 예수 크리스트의 이 세상에로의 도래와 죽음. 부활은 불가역적으로 반복 불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

과학/시간 2020.11.18

258.아버지를 매장하는 종달새

258.아버지를 매장하는 종달새 오랜 전설에 따르면 종달새는 대지보다도 먼저 창조되었다. 그래서 그녀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 매장할 장소를 찾지 못하였다. 그녀는 시신을 5일간 매장하지 않고 누운 채로 두었다. 그리고 6일째에 달리 장소가 없었으므로 자기 머리에 아버지를 매장했다. 이리하여 종달새는 관모를 손에 넣었다. 그것은 아버지의 묘라 한다. -자식이 첫째의 임무는 어버이를 공경하는 일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zCRYbc4hu-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