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실재 2

마음과 의식의 수수께끼는 양자물리학으로 해명되는가?(2/2)

마음과 의식의 수수께끼는 양자물리학으로 해명되는가?(2/2) 양자역학의 측정문제 이것은 너무나 기묘한 이야기로서 경험에 반하기 때문에 그런 이론은 곧 버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는지 모른다. 그래서 혹시 양자역학이 어림도 없이 높은 정도로 실험 데이터에 맞지 않는다면 당신의 그 반응은 단순히 일반적일 뿐 아니라 바른 반응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보는 한 양자역학은 최대급으로 존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우리들 과학자는 직관에 반하는 양자역학의 이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을 계속해 왔다. 문제는 그래서 연구하면 할수록 이야기가 이상하게 된 것이다. 양자역학의 방정식 중에는 많은 가능성이 흐리멍덩하게 섞인 상태에서 측정결과로서 얻어지는 하나의 확정한 상태로 실재가 어떻게 해서 이행..

과학/과학 2022.05.20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양자역학이 던지는 궁극의 물음 (1/3) 는 참말인가? 상대론과 나란히 2대 물리이론. 양자역학은 세계를 보는 방법을 근간으로부터 바꾸었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양자역학이 제시한 세계관. 물질관에 맹렬히 다른 주장을 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 창시자의 한 사람 *닐스 보아와 격한 논전을 반복하였다. 커다란 물음을 둘러싼 뜨거운 논쟁의 100년을 극명하게 둘러본 근간 (筑摩書房)이 화제가 되고 있다. 동서의 번역을 담당한 요시타미치요(吉田三知世) 씨에게 그 깊은 매력을 들었다. ===*보아(Niels Henrik David Bohr) [1885〜1962]데나크 이론물리학자. 양자가설(量子假説)의 도입으로 원자구조를 해명하여 원소의 주기율을 설명함. 상보적원리(相補性原理)의 제창 등 원자물리학의 진보에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