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4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꽃은 반개일 때에 보고, 술은 약간 취기가 돌게 마신다. 花看半開. 飮酒微醺, (菜根譚, 後集 百二十二) 화간반개, 음주미훈. (재근담, 후집 백이십이) 꽃은 반쯤 열릴 때가 보기 좋고 술은 약간의 취기가 돌 때까지만 마시는 것이 좋다 함이다. 끝판까지를 욕심을 부리면 꽃은 시들어 떨어져 버리고 술은 취하여 스스로를 깨닫지 못하게 된다.

오늘의 명언 2023.01.15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8)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8)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하게 마신다. 花看半開, 酒飲微酔. (菜根譚) 화간반개, 주음미취. (채근담)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할 정도로 마신다. 그때가 가장 멋지다. 만개한 꽃을 보는 것이나 술이 만취해버리면 무슨 정취가 있겠는가. 무엇이나 가득히 채우려 하지 말아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76sYEeMiXHI

오늘의 명언 2022.05.18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하게 마신다. 花看半開, 酒飲微酔. (菜根譚) 화간반개, 주음미취. (채근담)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할 정도로 마신다. 때가 가장 멋지다. 만개한 꽃을 보는 것이나 술이 만취해버리면 무슨 정취가 있겠는가. 무엇이나 가득히 채우려 하지 말아야 한다.

오늘의 명언 2021.05.18

인체의 신비 10가지

인체의 신비 10가지 1, 하품은 수면부족의 신호가 아니다. 하품은 뇌를 각성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하품할 때는 보통 입을 크게 벌리고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다. 그런데 실은 크게 입을 벌릴 때 턱 근육이 세게 당겨져서 그것이 뇌에 감각정보로서 보내져서 각성시키도록 작용을 하는 것이다. 2, 몸속에는 일생 동안 성장을 계속하는 부위가 있다. 일생 성장을 계속하는 부위는 귀와 코이다. 코가 더 커지지 않게 하려면 항상 코를 만지면 좋다고 한다. 3, 남극에서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남극에서는 아무리 추워도 감기에 걸리는 일은 없다. 이것은 추위 때문에 바이러스가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남극에서 생활하던 사람이 제 나라에 돌아오면 면역력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에 쉽게 감기를 걸린다. 4, 하품..

상식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