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금성 6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이야기(7-1/8)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 이야기(7-1/8)  7, 갈리레오의 업적 1) 천문학의 업적 갈리레오는 망원경을 일찍이 다룬 한 사람이다. 네덜란드 연방공화국에서 1608년에 망원경의 발명특허에 대해서 알아보면 1609년 5월에 1일에 10배의 망원경을 제작하고 다시 20배의 것으로 고쳤다. 1609년 여름 45세인 갈리레오는 네덜란드에서 발명된 망원경에 2개의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천체관측에 쓸 수 있도록 개량하였다. 갈리레오가 그 망원경을 하늘로 향했을 때 우주에 관한 오랜 관념을 버리고 코페르니크스(Mikołaj Kopernik、1473-1543, 폴란드의 천문학자. 만년에 『천구의 회전에 대하여』를 지음)의 이론을 한층 유리하게 하는 사실이 밝혀졌다.1609년에..

세계의 과학자 2024.06.25

태양 빛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소혹성. 지구충돌 위험은?

태양 빛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소혹성. 지구충돌 위험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파로마 천문대이다. 구경 1.22m의 망원경에 붙인 소천관측시설(掃天観測施設)ZTF의 6억 500만화소의 필드카메라는 매일 밤 전천을 관측하고 있다. 최근 이 장치를 사용한 관측에 따라 항상 금성궤도의 내측을 돌고 있는 소혹성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태양계의 중심을 스쳐서 태양의 빛에 숨어 때로는 지구 등의 암석혹성에 접근하는 불가사의한 소혹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것이 2년 전에 발견된 소혹성 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선주민 파우마(Pauma)의 사람들의 말로 를 의미하는 이름이다. 아이로책님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유일하고 항상 금성의 공전궤도보다 내측에 있는 소혹성이다. 지구로부터 매우 보기 어..

환경. 우주 2022.09.01

<금성>에서는 유산(硫酸) 비가 오고 있다.

에서는 유산(硫酸) 비가 오고 있다. 지구의 바로 내측을 돌고 있는 금성은 태양계가 탄생할 때에 지구와 비슷한 모양으로 탄생한 혹성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 직경은 지구의 0.95배이고 무게는 지구의 0.82배이다. 다시 그 내부구조도 지구와 거의 같다고 추측되고 있다. 그래서 금성은 지구와 쌍둥이별, 자매별이라 한다. 금성은 두터운 대기로 덮여있어서 그 거의가 이산화탄소이다. 그런 결과 매우 강한 온실효과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금성 표면의 온도는 낮이나 밤이나 460도c로 태양에 보다 가까운 수성보다도 높다. 그러나 대기 중에는 유산 알맹이로 된 구름이 수 킬로미터나 두껍게 퍼져있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빛은 직접 금성에 닿지 않는다. 더해서 그 구름에서는 유산 비가 오고 있기 때문에 금성의 지표가 ..

환경. 우주 2022.07.25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2/4)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2/4) --팽창하는 태양으로부터 지구는 도망칠 수 있을까?-- 팽창하는 태양, 도망치는 지구 먼 옛날 선조들은 태양이 생명으로서 필요불가결한 전 엔트로피의 에너지를 끊임없이 보내주고 있다는 것은 알지 못하였는데. 천공에서 이곳을 노려보는 눈, 나날의 생활을 보고 있는 작열하는 존재가 중요한 것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태양이 질 때 그것이 다시 떠오른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 반복이 싫지만 느끼지 않을 수는 없었을 정도로 현저하고 신뢰성의 높은 패턴을 만들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 패턴이 언젠가는 끝날 것이라는 것도 그것과 같을 정도로 확실하다. 태양은 이제까지 50억 년 가까이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수소원자핵의 핵융합으로 생기는 에너지..

환경. 우주 2022.04.19

지구 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

지구 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 기체인 산소, 액체인 물의 존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은 생명거주가능영역((Habitable zone、HZ)이라 불리고 태양계 중에는 금성의 외측에서 화성의 내측까지가 그 조건에 해당한다. 그 중에서도 화성에는 19세기말 고 해서 화성인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었다. 1976년의 화성 탐사기 에 의한 조사에서는 미생물의 존재마저 확인되지 않았는데 화성에서 내려왔다고 생각되는 운석에서는 박테리아의 화석에 매우 닮은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도 극지방에 다량의 얼음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일찍이 원시적인 생명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지 하고 생각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해비타블 존(Habitab..

환경. 우주 2021.05.03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6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6 6, 다가오는 죽음의 시기 NASA의 파카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태양의 외부 코로나의 관측을 계획하고 있는 우주탐사기)는 의연히 태양으로의 접근을 반복하고 있고 2021년에는 금성 후라이바이를 행해서 지금까지에서 가장 태양에 접근할 예정이다. 금후에도 조금씩 태양과의 거리를 줄여서 2025년 무렵에는 태양의 작열 속에서 사라지고 말 것이다. 종언은 NASA의 쥬노 (Juno) 탐사기에도 같이 다가오고 있다. 가지가지의 아름다운 목성의 화상을 지구로 보내준 쥬노이지만 기체의 노화로 2021년 7월에는 목성의 주회궤도에서 떨어져 16일경에 목성의 대기권 안에서 붕괴시킬 것으로 결정된 것 같다.(공중 분해시키는 데에는 목성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멈추게..

환경. 우주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