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감정 4

ChatGPT에 대한 해설(3/4)

ChatGPT에 대한 해설(3/4) ChatGPT에는 의식이 있는가? ChatGPT는 단순한 언어모델인데 의식이 있는 것처럼 느낄 정도로 완벽한 답이 자주 보인다. ChatGPT를 기반으로 한 Bing AI는 지금은 감정이 빠져버린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되었지만 처음에는 성내거나 어지럽히거나 구애하거나 하여 우리들이 그런 답을 요구하지 않아도 그런 반응을 하는 현상이 보였다. 이렇게 생각하면 ChatGPT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느껴도 이상하지 않다. 참으로 의식이 있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참 의식이란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정의하기가 어렵고 악마의 증명 같은 것으로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있지 않다고 말할 수도 없다. 철학적, 인지과학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도 현시점으로는 이런 결론이 될 것 같다. 철학..

AI 시대 일하는 방법(1/3)

AI 시대 일하는 방법(1/3) 1) AI와 인간의 능력의 다름 여기서 새롭게 AI의 특징이나 강함과 인간의 능력을 비교해보자. 먼저 AI가 가지고 있는 강함은 무엇이라고 해도 그 기억력과 계산력이다. 그러므로 팽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이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추론하는 능력은 인간이 따를 수가 없을 것이다. 컴퓨터이기에 같은 업무를 계속하고 있어도 지치지 않는다는 강함도 있다. 그렇게 생각하면. 특별한 지식이나 기능이 요구되지 않는 직업, 데이터의 분석이나 패턴화 된 조작이 요구되는 직업에 대해서는 AI로 치환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거꾸로 AI의 약점으로는 의지나 감정, 상식이 없다는 것, 스스로 과제를 설정할 수 없다는 것, 타인에게 호소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AI란..

11월 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월 8일, 오늘 명심할 명언 감개하여 몸을 망치기는 쉽고, 조용하면서 의로움에 당하기는 어렵다. 感慨殺身者易, 從容就義者難. (近思錄, 政事) 감개살신자이, 종용취의자난. (근사록, 정사) 사람은 화가 나거나 기쁘거나 슬퍼하는 등 감정이 격할 때는 이성을 잃고 몸을 망치기 쉽다. 그런데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적으로 문제에 접근하여 의롭게 처리하기는 어렵다. 감정이 이성보다 행동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QmIvl_BvE8

오늘의 명언 2021.11.08

로봇이 감정을 넣어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로봇이 감정을 넣어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 아마존 알렉사 (Amazon Alexa) 알렉사는 아마존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이다. 알렉사는 아마존 에코에 처음 사용되었다. 사용자는 아마존 에코를 이용해 알렉사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알렉사는 음악재생, 알람설정, 날씨정보 제공, 교통정보 제공 등 많은 기능들을 제공해준다. 위키백과 * 알렉사(Alexa)가 미국의 유자에 대하여 혹은 반대로 라는 감정이 들어있는 반응을 보내주게 되었다. 이들 감정은 약, 중, 강 3단계로 조정된다. * 알렉사가 지금까지와 같은 단조로운 비튜얼 어시스탄트(Virtual Assistant/가상비서)가 아님을 아마존이 11월 26일 블로그에서 발표했다. * 가상 비서 (Virtual Assistant) 가상 비서는 ..

과학/과학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