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화 제1차 북벌(北伐)(1)
1, 전 출사표(出師表)
이것은 공명이 북벌에 임함에 유선(劉禪)에 낸 결의 표명문이다.
<이 문장을 읽고 울지 않은 자는 충신이 아니다.>라고 하는 명문이다.
출사표(出師表)
--우리말 번역문은 < 위키문헌 전출사표>에서 가져옴--
신 량(亮)이 삼가 아뢰옵니다.
선제(유비/劉備)께옵서 창업하신 뜻의 반도 이루지 못하신 채 중도에 붕어하시고, 이제 천하는 셋으로 정립되어 익주(益州)가 매우 피폐하오니, 참으로 나라의 존망이 위급한 때이옵니다. 하오나 폐하를 모시는 대소 신료들이 안에서 나태하지 아니하고 충성스런 무사들이 밖에서 목숨을 아끼지 않음은 선제께옵서 특별히 대우해주시던 황은을 잊지 않고 오로지 폐하께 보답코자 하는 마음 때문이옵니다. 폐하께서는 마땅히 그들의 충언에 귀를 크게 여시어 선제의 유덕을 빛내시오며, 충의지사들의 의기를 드넓게 일으켜 주시옵소서. 스스로 덕이 박하고 재주가 부족하다 여기셔서 그릇된 비유를 들어 대의를 잃으셔서는 아니 되오며, 충성스레 간하는 길을 막지 마시옵소서.
또한, 궁중과 부중이 일치단결하여 잘한 일에 상을 주고 잘못된 일에 벌을 줌에 다름이 있어서는 아니 될 것이옵니다. 만일 간악한 짓을 범하여 죄 지은 자와 충량한 자가 있거든 마땅히 각 부서에 맡겨 상벌을 의논하시어 폐하의 공평함과 명명백백한 다스림을 더욱 빛나게 하시고, 사사로움에 치우치셔서 안팎으로 법을 달리하는 일이 없게 하시옵소서.
시중 곽유지(郭攸之)와 비위(費緯), 시랑 동운(董允) 등은 모두 선량하고 진실하오며 뜻과 생각이 고르고 순박하여 선황제께서 발탁하시어 폐하께 남기셨사오니, 아둔한 신이 생각하건대 궁중의 크고 작은 일은 모두 그들에게 물어보신 이후에 시행하시면 필히 허술한 곳을 보완하는 데 크게 이로울 것이옵니다. 장군 상총(尙寵)은 성품과 행실이 맑고 치우침이 없으며 군사에 밝은지라 지난 날 선황제께서 상총을 시험 삼아 쓰신 뒤 유능하다 말씀하시었고, 그리하여 여러 사람의 뜻을 모아 그를 도독으로 천거했사오니, 아둔한 신의 생각으로는 군중의 대소사는 상총에게 물어 결정하시면 반드시 군사들 사이에서 화목할 것이오며, 유능한 자와 무능한 자 모두 적재적소에서 맡은 바 임무를 성실히 다할 것이옵니다.
전한(前漢) 황조가 흥한 것은 현명한 신하를 가까이하고 탐관오리와 소인배를 멀리했기 때문이오며, 후한(後漢) 황조가 무너진 것은 탐관오리와 소인배를 가까이하고 현명한 신하를 멀리한 때문입니다. 선제께옵서는 생전에 신들과 이런 이야기를 나누시면서 일찍이 환제(桓帝), 영제(靈帝-후한의 암군/暗君) 때의 일에 대해 통탄을 금치 못하셨사옵니다. 시중과 상서, 장사와 참군 등은 모두 곧고 밝은 자들로 죽기로써 국가에 대한 절개를 지킬 신하들이니, 원컨대 폐하께서는 이들을 가까이 두시고 믿으시옵소서. 그리하시면 머지않아 한실은 다시 융성할 것이옵니다.
신은 본래 하찮은 포의(벼슬이 없음)로 남양(南陽)의 땅에서 논밭이나 갈면서 난세에 목숨을 붙이고자 하였을 뿐, 제후를 찾아 일신의 영달을 구할 생각은 없었사옵니다. 하오나 선제께옵서는 황공하옵게도 신을 미천하게 여기지 아니하시고 무려 세 번씩이나 몸을 낮추시어 몸소 초려를 찾아오셔서 신에게 당대의 정세를 자문하시니, 신은 이에 감격하여 마침내 선제를 위해 몸을 아끼지 않으리라 결심하고 그 뜻에 응하였사옵니다. 그 후 한실의 국운이 기울어 싸움에 패하는 어려움 가운데 소임을 맡아 동분서주하며 위난한 상황에서 명을 받들어 일을 행해온 지 어언 스물하고도 한 해가 지났사옵니다.
선제께옵서는 신이 삼가고 신중한 것을 아시고 붕어하실 때 신에게 탁고의 대사를 맡기셨사옵니다. 신은 선제의 유지를 받은 이래 조석으로 근심하며 혹시나 그 부탁하신 바를 이루지 못하여 선제의 밝으신 뜻에 누를 끼치지 않을까 두려워하던 끝에, 지난 건흥 3년(225년) 5월에 노수(瀘水)를 건너 불모의 땅으로 깊이 들어갔사옵니다. 이제 남방은 평정되었고 인마와 병기와 갑옷 역시 넉넉하니, 마땅히 삼군이 북으로 나아가 중원을 평정시켜야 할 것이옵니다. 늙고 아둔하나마 있는 힘을 다해 간사하고 흉악한 무리를 제거하고 대한 황실을 다시 일으켜 옛 황도로 돌아가는 것만이 바로 선제 폐하께 보답하고 폐하께 충성드리는 신의 직분이옵니다. 손익을 헤아려 폐하께 충언 드릴 일은 이제 곽유지(郭攸之), 비위(費緯), 동운(董允) 등의 몫이옵니다.
원컨대 폐하께옵서는 신에게 흉악무도한 역적을 토벌하고 한실을 부흥시킬 일을 명하시고, 만일 이루지 못하거든 신의 죄를 엄히 다스리시어 선제의 영전에 고하시옵소서. 또한 만약 덕을 흥하게 하는 말이 없으면 곽유지, 비의, 동윤의 허물을 책망하시어 그 태만함을 온 천하에 드러내시옵소서. 폐하께옵서도 마땅히 스스로 헤아리시어 옳고 바른 방도를 취하시고, 신하들의 바른 말을 잘 살펴 들으시어 선제께옵서 남기신 뜻을 좇으시옵소서.
신이 받은 은혜에 감격을 이기지 못하옵나이다!
이제 멀리 떠나는 자리에서 표문을 올림에 눈물이 앞을 가려 무슨 말씀을 아뢰어야 할지 모르겠나이다. *
이 출사표를 읽어 느끼는 바는 출진의 표명문(表明文)으로서는 비장감이 표표(漂漂)함이다.
군인으로서는 범인이었던 공명이지만 정치가로서는 탁월했다. 그는 정치력을 구사하여 군사상의 핸디캡을 메우려고 한다.
출사표를 제출하여 북상한 공명의 군세는 한증(漢中)에 들어가서 1년 가까이 움직임을 멈춘다. 병사들을 군사교련을 단련하기 위하여서이기도 하지만 정치적 이면 공작을 집요하게 걸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실은 이 무렵 위나라에서는 2세 황제 조비(曹丕)가 병사하고 그 아들 조예(曺叡)가 막 뒤를 이었을 뿐이다. 공명은 후계자 쟁탈 등 혼란이 일어날 것을 기대한 것일 것이다. 그러나 위나라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또 촉(蜀)이 내걸고 있는 슬로간인 <한제국의 부흥>은 이제 중원에서는 사어가 되고 말았다. 위나라의 황제도 3대째가 되고 꽤 안정되어 있었다. 이것도 공명으로서는 기대에 벗어난 것이었을 것이다.
공명은 동맹국인 오나라가 위나라를 공격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었는데 오나라는 촉(蜀)의 행동을 노려보고 있을 뿐 적극적으로 공격할 기미는 없었다. 이 무렵의 오나라와 촉과의 관계는 약자끼리 떼를 지어있을 뿐 공통의 목적을 위하여 단결하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공명의 모략은 유일하게 형주(荊州) 서북부의 상용(上庸)에서 열매 맺는다. 이 땅을 지키고 있는 위나라 장수 맹달(孟達)이 배신한 것이다. 이 맹달은 원래 유비의 부하였는데 관우(關羽)의 패사를 보고 위나라로 배신해 들어간 남자이다. 조비가 죽고 심지가 좋지 않아서 곧 촉으로 복귀하려고 생각한 셈이다. 그러나 공명으로서 불운한 것은 상용에 인접하는 완(宛)을 지키고 있던 위나라의 중진 사마의(司馬懿)는 맹달을 의심하여 간첩망을 치고 있었던 것이다. 맹달의 충성은 곧 발각되어 쳐들어간 사마의의 군에 의하여 죽고 말았다.
아무튼 공명이 걸어놓은 모략공작은 건마다 실패로 끝났다.
'인물 전기 > 제갈공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9화 제1차 북벌(北伐)(3) (0) | 2020.06.29 |
---|---|
제9화 제1차 북벌(北伐)(2) (0) | 2020.06.26 |
제8화 유비(劉備)의 죽음과 남만정벌(南蠻征伐) (0) | 2020.06.24 |
제 7화 촉한의 암운(2) (0) | 2020.06.23 |
제 7화 촉한의 암운(1) (0) | 2020.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