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외혹성(系外惑星=외계 행성)이란?
*외계 행성 또는 계외 행성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다. 지금까지 3800여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으며 모두 우리 은하 내에 있다.위키백과.
【AFP=시사】22019년 노벨 물리학상이 스위스인 천문학자인 미셀 마이요(Michel Mayor)씨와 디디에 쿠엘로((Didier Queloz)씨에게 주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양씨는 지구가 있는 태양계 외측 아득히 먼 곳에 있는 항성을 도는 혹성 소위 <계외혹성(系外惑星)=이계행성>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양씨의 발견을 출발점으로 하여 계외혹성이 차례차례로 발견되고 있다. 계외혹성은 태양계의 혹성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이 많다.
1, 계외혹성이란
태양계의 외측에 있는 혹성은 모두 계외혹성이라고 간주된다.
계외혹성이 존재한다는 것은 오랜 동안 학술연구와 인기 SF영화<스타 워스(Star Wars)> 등의 대중문화의 양방에서 이론상 상정되어 왔으나 노벨 물리학상의 양씨가 1995년에 <페가스스좌 51번별 b(51 Pegasi b)를 발견하기까지는 누구도 그 존재를 증명하지 못하고 있었다.
노벨위원회 물리학부문(Nobel Committee for Physics)의 울프 다니엘손(Ulf Danielsson)씨는 8일 수상자 발표회에서 <다른 혹성계가 태양계에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되었었다.> <그런데 그것은 틀린 것이었다.>고 말하였다.
2, 계외혹성은 얼마나 있는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계외혹성 아카이브(Exoplanet Archive)>에 따르면 현시점에서 4057개의 계외혹성이 확인되고 있고 그것과 동수 이상의 유력후보가 존재한다고 한다. 태반은 태양계의 혹성에 비해서 엄청 크다.
그러나 이것은 혹성과학자들이 이제까지 검출한 혹성의 수에 지나지 않아서 태양계가 위치하는 은하계(Milky Way)안에서만도 1조개의 계외혹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복수의 연구에서 추정되고 있다. 결국 우주에는 항성와 같은 정도의 수의 외계혹성이 존재하는지 모른다.
3, 계외혹성의 검출 방법
계외혹성은 직접관측이 곤란하다. 중심성의 빛이 상대적으로 밝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소형의 천체의 모습을 잡지 못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계외혹성을 검출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여기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출 방법을 두 가지 소개한다.
중심성의 <흔들림>을 관찰한다.
이것은 한 개 또는 복수의 보이지 않는 혹성의 중력에 의하여 중심성의 빛의 칼러스펙트럼에 생기는 변화를 찾는 방법이다.
이 변화의 패턴이 정기적이고 주기적으로 중심성의 미소한 흔들림에 대응하고 있다면 그것은 혹성에 의하여 일어나는 가능성이 있다. 계외혹성의 18% 가까이가 이 방법으로 검출되었다.
혹성의 그림자를 찾는다.
이것은 망원경을 노려보고 있는 천문학자나 우주공간의 인공위성 등 관측자와 중심성의 중간을 혹성이 통과할 때 혹성에 의하여 광도가 조금이지만 측정가능한 양만 감광하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 이 방법이 가장 경과를 남기고 있고, NASA의 케플러((Kepler)우주 망원경은 2009-13년에 수천 개의 혹성 후보를 발견하였다. 계외혹성 전체의 약 80%가 이 방법으로 발견한 것이다.
4, 생명을 지탱하는 조건이란?
지금까지 검출되고 있는 계외혹성 중에 중심성과의 위치관계로 물이 증발할 정도로 고온이 아니고 굳게 얼 정도로 저온의 아닌 <온난한> 구역 안에 있는 것은 참으로 한줌에 지나지 않다.
지구상의 생명도 또 대기가 없다면 생각할 수 없다. 인간의 경우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함유하는 대기가 불가결이다. 다시 대기는 항성이 발하는 자외선이나 엑스선 등의 고에너지 방사선에 의하여 동물종이 손상을 받는 것을 방비하고 있다.
그런데 지구상에서 생명이 어떻게 해서 출현했는지는 아직 완전히 알고 있지 않으므로 우주에 있는 다른 혹성의 생물, 인간으로서 치명적인 가스나 화학물질, 온도 등의 가운데 생존, 번영할 수 있는지도 알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번역편집) AFPBB News
출처= (2019. 10. 14 마이니치신문)
'환경. 우주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성이란 어떤 혹성인가? (0) | 2021.06.07 |
---|---|
너무나 아름다운 태양계 사진, 11 (0) | 2020.08.09 |
달이 없다면 지구에는 사람이 살 수 없다. (0) | 2019.07.31 |
미항공우주국 아폴로 11호 달착륙 50주년 회고록 (0) | 2019.07.12 |
화성지표 사진전 8 8, 지표에 나타난 하상 1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