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기타고전/삼자경

73, 피포편-

간천(澗泉) naganchun 2012. 4. 7. 03:51

 

73,披蒲編,削竹簡,彼無書,且知勉.

       (피포편, 삭죽간, 피무서, 차지면)

 

한나라의 노온서(路溫舒)와 공손홍(公孫弘)은 가난해서 서적을 살 수 없었으므로 스스로 포초(蒲草=부들)을 짜고 대를 깎아서 서사의 재료를 만들어 남에게 빌린 책을 서사하여 배웠다.

그들은 학업의 중요함을 알고 이를 버리지 않고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주

*피포편(披蒲編)-한나라의 노온서(路温舒)는 어려서 양을 치고 있었는데 부들(蒲)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책처럼 짜고 거기에 문자를 써서 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는 후에 태수가 되었다.

*삭죽간(削竹簡)-한나라 공손홍(公孫弘 BC200년~121년) 은 돼지를 치며 살았었는데 40세가 지나서 죽간을 깎아서 춘추(春秋)를 서사하여 공부했다고 한다.

 

'기타고전 > 삼자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여낭형-  (0) 2012.04.12
74, 두현량-  (0) 2012.04.11
72, 조중령-  (0) 2012.04.03
71, 석중니-  (0) 2012.03.31
70, 구이송-  (0) 2012.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