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혈관도 촬영" MRI 조영제 개발
-현택환· 최승홍 서울대 교수팀 동맥경화등 신속·정확 진단-
국내 연구진이 지름 0.2㎜의 작은 혈관까지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조영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상용화하면 동맥경화ㆍ심근경색 등 혈관 질환의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택환(사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최승홍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산화철 나노 입자를 합성한 후 이를 MRI 조영제로 사용해 고해상도 혈관 MRI 영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조영제는 MRI 영상에서 각 조직과 혈관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데 쓰이는 물질로 원하는 부위가 밝게 보이는 T1 조영제와 어둡게 보이는 T2 조영제로 나뉜다.
T1 조영제로 널리 사용되는 가돌리늄 착물은 혈관과 생체 내 체류시간이 짧아 혈관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T2 조영제로 주로 쓰이는 산화철 입자는 독성이 적지만 자성(磁性)이 커서 T1 조영제로 사용하기 힘들었다.
T1조영제의 자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산화철 입자를 극소 나노 크기로 만들어야 한다.
현 교수팀은 3㎚ 이하의 매우 작은 산화철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이 조영제로 대동맥ㆍ대정맥ㆍ경동맥 등 큰 혈관뿐 아니라 0.2㎜ 지름의 작은 혈관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현 교수는 "기존 MRI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해상도 혈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 데 연구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성행경기자 saint@sed.co.kr입력시간 : 2011.07.25 15:14:47수정시간 : 2011.07.25 18:32:13
(2011. 7. 26 서울경제)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이섬유로 뇌졸중 위험도 저하--흡연하면 헛일 (0) | 2011.08.10 |
---|---|
태풍 9호 발생 (0) | 2011.07.29 |
태풍 6호 (2011년 7월 18일 1시 30분 발표) (0) | 2011.07.18 |
울부짖는 까마귀, 모래판에 고래--지진 재해 전에 일어난 동물의 이변 (0) | 2011.07.05 |
스위스의 소라 비행기 최초로 국제비행 성공 (0) | 201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