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C형간염 2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2)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2) 속속 등장하는 신종코로나 항바이러스 먹는 약. -지금 알고 있는 것은- 항바이러스 약의 종류가 많을수록 좋은 이유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라서 자력으로는 번식하지 못한다. 그런 때문에 숙주세포의 구조만을 타서 자신의 카피를 대량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서 증식된 이 체내에 퍼져서 최종적으로는 다른 숙주에게 감염한다. 항바이러스 약의 다수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부착하거나 침입하거나 하는 것을 막지만 혹은 숙주세포에 침입한 바이러스의 복제를 방해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한다. 예를 들면 렘데시비르(Remdesivir)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게놈에 끼어들어서 폴리메라제(Polymerase==DNA나 RNA와 같은 핵산 포리마나 장쇄(長鎖)를 합성하는 효소를 말함)라는 효소를 방..

과학/과학 2021.11.23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1)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1) 속속 등장하는 신종코로나 항바이러스 먹는 약. -지금 알고 있는 것은- 11월 5일 미국 제약회사 화이자사가 같은 코로나 먹는 약 후보인 의 제2/3상 임상시험의 중간 해석결과를 발표하여 증상이 나타나서 5일 이내에 투여하여 중증화 리스크가 있는 사람의 입원 또는 사망 리스크를 89%를 감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 결과를 받아서 화이자는 추가 임상시험을 중지하고 미식품의약국(FDA)에 팍슬로비드의 긴급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항바이러스약의 연구개발에는 곤란이 따르는 것인데 뉴스나 미국 정부에 의한 다액의 투자 등 그 전망은 밝다. 그래서 신종코로나의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지금 알고 있는 것을 소개한다. 항바이러스 약을 둘러싼 현상 감염도 막는 백신과 달리 항바이러스 약은 감..

과학/과학 202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