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Big Data 3

인공지능과 심층학습(3/3)

인공지능과 심층학습(3/3) 5) AI를 사용하는 데는 무엇이 필요한가? (1)학습 모델과 데이터세트에 대하여 실제로 인공지능을 이용할 경우 와 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 아기AI(인공지능)을 성장시키는 학습페이스로 그럴 때에 필요한 것이 학습용 와 이다. 일반적으로는 에서 규칙성이나 관련성을 추출하여 학습을 반복함으로써 을 만들고 있다. 특히 심층학습의 경우 정도(精度)를 높이기 위하여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또 데이터의 정확성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불완전한 데이터로 학습하면 틀린 판단을 하고 말아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AI가 학습하지 않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 페이스(phase=단계, 국면을 의미한다.) 6) 학습제(學習濟) 모델 구축에 걸리는 계산 코스트는? 학습제 모델을..

2, AI 개발 프로세스(1/3)

2, AI 개발 프로세스(1/3) 1) 여러 가지의 기술이 AI의 진화를 지탱한다. AI진화의 배경에는 기계학습과 디프러닝이라는 기술이 있었다는 것 또 AI에는 팽대한 학습데이터가 불가결하다는 것은 이미 소개하였다. 그러나 AI가 2000년대에 비약적으로 발전한 배경에는 디프러닝 외로 한 조건이 필요했다. 여러분은 라는 말을 들어본 일이 있는가. 빅데이터란 일반적 데이터관리, 처리 소프트웨어로 다루기가 곤란할 정도의 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AI학습에는 이 빅데이터가 불가결한 것이었다. 그러면 어느 정도로 거대한가? 여러분이 쓰고 있는 스마트폰의 기억용량은 얼마인가? 최신식이라면 32 GB(기가바이트)~64GB정도일 것이다. PC는 어떠한가? 노트 PC라면 512 GB정도. 테스크탑 PC..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 : 지금시대 스마트 효도법

(6) 알아서 해줘! AI부모님 세탁기에 빨래를 집어넣고 ‘알아서 해줘’라고 말만하면 세탁기가 다 알아서 해주는 광고가 있다. AI 인공지능이 탑재된 세탁기 등 가전제품이 알아서 척척 다 해준다는 것이다. 딱 마음에 맞게 맞춤으로 주문한 것처럼 콕 집어서 처리해주는 스마트한 세상이 오고 있다. 우리가 아기 때, 어린이일 때, 청소년기일 때, 사회에 나와서 일을 하고 결혼을 하는 과정 속에서도 부모님들은 우리의 편의를 알아서 척척 해주셨다. 우리가 이거 저거 해달라고 조르기도 했지만, 그 이전에 부모님들은 우리의 필요를 알아서 미리 감지하는 그야말로 AI 였다. 부모님이 우리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부모님들이 우리를 사방팔방으로 깊이 깊이 두루두루 관찰을 했기 때문이 아닐까. 보고 보고 또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