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1초의 정의 2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초>의 정의를 바꿔 쓰는 <광격자시계>란 무엇인가? (3/4)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의 정의를 바꿔 쓰는 란 무엇인가? (3/4) 그러면 광격자시계란? 그 세슘원자시계를 2단계 상회하는 정도의 란 어떤 시계인가? (아카마쓰) 그 속에서 날아다니는 원자를 격자상의 그릇에 가두어두는 포인트는 가도리 씨가 발견한 인 레저광이라 한다. (아카마쓰) 온통 한 방을 차지한 거대시계 (아카마쓰) 엣 단 2-3시간으로 멈추는가? 시계 그 자체가 거의 자작과 같은 것이니까 기계의 버릇 같은 것이 있다. 그런 것들을 극복하면서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에 걸쳐서 가동률 80%이상이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안전운전에 성공하였다. 광격자시계가 마침내 실제로 쓸 수 있을 단계에까지 왔다고 생각하고 있다.(고바야시) 밤중에 두드려 깨우고 꽤나 신경 쓰이는 시계이군. (아카마쓰) (..

과학/과학 2022.03.23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초>의 정의를 바꿔 쓰는 <광격자시계>란 무엇인가? (2/4)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의 정의를 바꿔 쓰는 란 무엇인가? (2/4) 세계의 표준시는 어떻게 정하나? 일단 시점을 바꾸어 세계의 표준시는 어떻게 해서 정해지고 있는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가 정하고 있다? (고바야시) 곧 세계표준시는 “세계의 합의”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그 옛날 시간은 천체의 움직임에 따랐는데 지금은 천체의 움직임보다 정확한 원자의 진동을 기준으로 시계를 진행한다. 를 때때로 끼고 있는 것은 그 천체와의 계산을 맞추기 위해서라고 한다. 1956년까지는 지구의 자전을 바탕으로 1초를 정의하고 있었다(1초=1/8만6400일). 이것이 10의 마이너스 8승 정도의 정도(精度)였다. 다음에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공전에서 1초를 정의하여 고쳐서(1초=1/3155억6925만9747년),..

과학/과학 202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