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호기심 4

<단백질은 재미있다.>는 호기심이 암 퇴치에 이어진다!?(1/3)

는 호기심이 암 퇴치에 이어진다!?(1/3) 미생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물이 인간에게는 없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서 화제가 되는 일이 있다. 그런 생물의 능력도 원래를 찾아가 본다면 생체내의 단백질 등의 분자에 닿는다. 그 분자의 작용을 해명하는 구조생물학이 이제 여러 가지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생물의 기능은 단백질이 담당하고 있다. 최근 선충을 쓴 암 진단이 화제가 되었다. 이것은 암세포가 생성하는 어떤 물질을 선충이 검출하고 있음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검출에는 아마도 선충의 생체의 단백질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데 어떤 단백질이 어떤 물질을 검출하고 있는지는 아직 해명되지 않았다, 곧 이제는 선충이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하고 있을 뿐인데 그 메커니즘이 밝혀지면 의..

과학/과학 2022.12.12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마나베 슈쿠로 씨가 기자 회견,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마나베 슈쿠로 씨가 기자 회견, --을 반복-- 노벨물리학상의 수상이 결정된 미국 프린스톤대학의 기상학자 마나베 슈쿠로(真鍋淑郎) 수석연구원(90)이 5일 미국 동부 뉴저지주에서 회견하여 고 말하였다. 마나베 씨는 수상이 결정된 약 8시간 후인 5일 낮 근무처인 대학에서 기자회견에 임하였다. 홀에 모습을 나타내자 모여 있던 학생들로부터 기립 박수로 맞이하였다. 이라는 말을 반복하여 쓰고 연구에 건 정열을 표현하였다. 마나베 씨는 도쿄대학원을 수료한 후 1958년에 도미하였다. 미국 기상국이나 프린스톤대학 등에서 기후변동의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60년대에는 지구 대기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재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발견한 것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지표의 온도가 오른..

과학/과학 2021.10.08

만일 과거 성현이나 위대한 인물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만일 과거 성현이나 위대한 인물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만일 과거 성현이나 위대한 인물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나는 약 2초 정도 생각하고 “예수 그리스도” 라고 답했다. “왜요?” 라는 질문이 돌아온다. “예수님..

단상/월요단상 201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