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5 5, 불씨로서도 중요시한 불시계 인류는 연소하는 불을 써서 (연소시계)도 짜내었다. 서양에서는 양초나 기름을 쓴 것이 많은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향(香)이나 선향(線香) 화승(火繩) 등도 사용되었다. 양초시계는 양초의 측면에 눈금을 그어서 타지 않고 남은 눈금으로 경과시간을 읽었다. 중세 프랑스에서 유행하여 루이 9세는 십자군 원정 시에도 휴대하고 가고 막사 안에서도 사용하였다 한다. 램프에 의한 불시계는 미리 눈금을 적은 용기에 기름을 넣고 불을 붙여 남은 기름의 양으로 시간을 재었다. 그러나 담긴 기름의 양으로 하부에 걸리는 유압이 변하면 연소속도가 변하여버린다. 이런 때문에 압력을 평균화하려고 기름통의 모양을 양리형(洋梨型/위는 가늘고 아래는 둥근 모양)으로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