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4

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뇌과학자가 가르치는 10분에 뇌를 활성화시키는 10가지 방법 『뇌유지관리대전』의 저자로 미국의 뇌과학자 그리스틴 윌미아 씨는 이렇게 말한다. 동씨는 뇌에 장해를 안고 있는 환자에 대하여 식사 등의 생활습관을 바꿈으로써 뇌 기능을 극적으로 회복시켜왔다. 본고에서는 누구나 실천하기 쉬운 을 소개한다. 40세 이후 뇌의 용적은 10년에 5%씩 줄어든다. 혹시 당신이 20대로 인지기능이 쇠함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생각을 고치기 바란다. 인간의 뇌는 25세가 되어서 겨우 완성한다. 신경과학자 중에는 뇌는 30대까지 계속 성장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곧 20대의 식생활, 수면, 운동습관, 음주 등의 생활습관 모두가 뇌의 성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30대에 뇌는 ..

과학/과학 2022.04.28

<향기의 디지털화>로 우리들의 생활은 격변한다. 냄새를 디지털로 보내어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 우리들의 생활은 격변한다. 냄새를 디지털로 보내어서 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년 디지털기술로 향기를 해석하거나 생성하거나 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기술이 널리 활용하게 된다면 산업이나 의료, 오락 등 넓은 분야가 많은 은혜를 받아 우리들의 생활도 변한다고 한다. 소비자를 끌어당기는 향기 길에 떠도는 빵 향기, 커피를 빼는 향기-- 소비자인 우리들은 모르는 사이에 후각에 의하여 물건을 살 때의 결단을 크게 좌우한다. 센트 마케팅 인스티튜트(Saint Marketing Institute)에 따르면 가구는 가죽이나 삼나무의 향기가 나는 것이 팔리고, 꽃이나 감귤류의 향이 나는 책방에는 손님이 오래 있고 싶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향기가 나는 나이키의 쇼룸에서는 향기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 고객의..

과학/과학 2021.07.19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5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5 5, 불씨로서도 중요시한 불시계 인류는 연소하는 불을 써서 (연소시계)도 짜내었다. 서양에서는 양초나 기름을 쓴 것이 많은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향(香)이나 선향(線香) 화승(火繩) 등도 사용되었다. 양초시계는 양초의 측면에 눈금을 그어서 타지 않고 남은 눈금으로 경과시간을 읽었다. 중세 프랑스에서 유행하여 루이 9세는 십자군 원정 시에도 휴대하고 가고 막사 안에서도 사용하였다 한다. 램프에 의한 불시계는 미리 눈금을 적은 용기에 기름을 넣고 불을 붙여 남은 기름의 양으로 시간을 재었다. 그러나 담긴 기름의 양으로 하부에 걸리는 유압이 변하면 연소속도가 변하여버린다. 이런 때문에 압력을 평균화하려고 기름통의 모양을 양리형(洋梨型/위는 가늘고 아래는 둥근 모양)으로 하는..

과학/과학 2021.07.01

향기로운 체취

향기로운 체취 남에게서 들은 이야기이므로 어디까지가 참말인지 모르지만, 인간은 대개의 냄새에 익숙해진다고 한다. 꽤나 지독한 냄새라도 얼마 동안 맡고 있노라면 언젠가는 익숙해져버리는 모양이다. 실제로 냄새 그 자체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묽어지는 수도 있는 것인지 모른다. 그런데 결코 익숙해지지 않는 냄새도 있는 것 같다. 이것 또한 들은 이야기인데 정로환의 냄새 이것은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익숙해지지 않는다고 들은 일이 있다. 이것은 어쩌면 익숙해지고 아니하고 하는 문제가 아니고 정로환 자체가 풍기는 냄새가 언제까지 시간이 지나도 묽어지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시험해보려고 생각해 본 일은 없다. 누가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꼭 시험해 보고 그 결과를 보고해주었으면 좋겠다. 민족에 따라 음식물에 독특..

단상/단상 202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