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합성생물학 3

지구생명의 화성유래설에 2개의 새로운 근거(3/3)

지구생명의 화성유래설에 2개의 새로운 근거(3/3) 생명 탄생의 수수께끼에 대한 답 판스페르미아설(panspermia theory)이 세력이 왕성했던 것은 지구의 생명의 기원에 관한 과학계의 오랜 탐구 결과와(그러기보다 성과가 없었던 것 등) 궤를 하나로 하고 있다. 베너 씨가 전문으로 하고 있는 합성생물학의 분야에서는 수십 년에 걸쳐 연구가 행해졌지만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지구 표면에 널려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원시스프(지구상의 생명을 낳는 유기화합물의 이론적 혼합물)”의 속에서 차차 생명을 형성했다고 보는 유기화합물은 실험실 환경에서는 생명의 형성에 이어지는 것 같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베너 씨는 말한다. 이들 유기화합물에 열이나 빛에 의하여 에너지를 더한바 초기의 RNA..

제5차산업혁명은 바이오에서 온다. (1/2)

제5차산업혁명은 바이오에서 온다. (1/2) -생명의 한계를 넘는 합성생물학- 인공 거미실(糸)을 합성하여 섬유로 가공하는 기술로 유명한 국내 유니콘(Unicorn)의 스파이바(Spiber)에 녹충(緑虫)에서 바이오연료를 만드는 유구레나(Euglena/해조류의 일종) 등 이처럼 주목 받는 국내 벤처에 공통하고 있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실은 지금 이처럼 산업의 현장에서도 중요한 보물로 하고 있는 바이오기술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이들 기업은 모두 를 기초기술로 하고 있다. 이렇게 말하는 이는 도쿄공업대학의 게놈과학자 아이사와 야쓰노리(相澤康則) 부교수이다. Logimix는 2020년 8월 일본에서 처음으로 산학연계합성생물 프로젝트 를 발족시켰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자연계에서 존재하지 않는 ..

과학/과학 2022.07.18

생각하는 대로 <생명>을 디자인한다.

생각하는 대로 을 디자인한다. -인공적인 생명을 낳는 의 미래와 걱정- 인류에게 다대한 은혜를 가져올 현대의 연금술이 그것도 생명의 정의를 근원으로부터 흔드는 판도라상자인가. 인 게놈을 컴퓨터상에서 설계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DNA를 합성하거나 개변하거나 하여 새로운 생물을 만드는 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 과학환경부 기자인 수다모모코(須田挑子)씨는 미국에서 약 1년간 연구의 최전선을 쫓아서 (문예춘추)에 정리하였다. 수다씨에게 그 미래와 걱정을 여쭈어봤다.(라이터 쇼지 리사(庄司里紗)/Yahoo!뉴스 특집편집부) 게놈을 데서 시대로 수다모모코 씨, 미국에서 약 1년 체재하여 합성생물학의 최전선을 쫓았다. 가늘고 기다란 튜브 속에서 증식해가는 미생물의 세포. 미국의 J. 그레이그. 벤터 연..

과학/과학 202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