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정도 3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초>의 정의를 바꿔 쓰는 <광격자시계>란 무엇인가? (1/4)

구극의 정도에 도전하는 의 정의를 바꿔 쓰는 란 무엇인가? (1/4) 란 어떤 것인가? 해를 넘기는 풍물시라면 일본에서는 제야의 종. 세계에서는 신년의 카운트다운일 것이다. 그런데 전 세계에서 신년을 축하하기 위한 는 도대체 누가 맞추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에 맞추고 있는 것일까?> 이 지구상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시차가 있다고는 하지만) 한꺼번에 같은 시간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어째서인가? 블루박스 탐험대는 이번 그런 의 의문을 안고서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계량표준종합센터를 방문하였다. 여기는 라는 최첨단 시계를 세계에서 가장 안정된 운용을 갓 성공시켰다. 란 도대체 어떤 것일까? 시간표준연구그룹주임연구원인 *고바야시다쿠미(小林拓実) 씨와 *아카마쓰다이스케(赤松大輔) 씨에게 물었다. 두 사람은 물리..

과학/과학 2022.03.21

시간이란 무엇인가? (3)

시간이란 무엇인가? (3) -가장 신변에서 가까운 존재의 에 최신과학이 다그친다.- 은 장소에 따라 진행하는 방법이 다르다? 이 경이로운 정도를 구하는 연구는 시계의 정밀화 경주의 우승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이만큼 정도가 높게 시간의 흐름을 정하는 것은 실은 우리들에게 새로운 세계관을 가지게 한다. 그것은 이라는 것이 장소에 따라 진행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개념이다. 장소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른 것은 아인슈타인이 제창한 에 의하여 말한다. 중력원에 가까울수록 시간은 천천히 흐르고 중력원에서 멀어질수록 시간은 빨리 흐르는 것이 이론적으로 예측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의 중심에서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시간은 빨리 진행한다. 그래서 가토리 교수 등은 도쿄스카이트리의 전망대(고도45..

과학/과학 2022.02.09

시간이란 무엇인가? (1)

시간이란 무엇인가? (1) -가장 신변에서 가까운 존재의 에 최신과학이 다그친다.- 몸 가까이 있으나 실체가 잡히지 않는 존재 . 그 본질을 극한까지 밝히려는 인류의 근원적인 욕구는 멈출 곳을 모른다. 공학의 세계에서는 시계의 정도(精度)를 궁극에까지 높인 가 등장했다. 뇌과학에서도 특정한 부위에 주목하여 에 다그치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다시 시간과 인연이 깊은 학문, 물리학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날마다 우리들이 휘둘려지고 있는 수수께끼의 존재 의 정체를 여러 각도에서 쫓는다.(* 코스믹프론트 넥스트(CosmicFront☆NEXT) 취재반) 일본인의 시간감각을 낳은 인류는 태양의 돎과 달의 차고 기우는 것, 성좌의 이동 등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일에서 을 양성하여 생활에 들여왔다. 해가는 것..

과학/과학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