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재주 5

10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302)

10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302) 재주가 있으면 남을 제어하고 재주가 없으면 제어 당한다. 有術則制人, 無術則制於人. (淮南子, 主術訓) 유술즉제인, 무술즉재어인. (회남자, 주술훈) 술(術)이란 사람을 다스릴 수 있는 재주를 말한다. 남을 다스릴 수 있는 재주를 가지고 있으면 남을 제어하고 사람을 다스릴 수 있는 재주가 없으면 남에게 제어함을 당한다.

오늘의 명언 2022.10.29

7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1)

7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1)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치다. 揮涙斬馬謖. (三國志, 蜀書, 諸葛亮傳) 휘루참마속.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신뢰하는 부하라도 규율의 엄함을 지키기 위하여 사사로운 인정을 배제하고 처단함을 말한다. 마속(馬謖)은 위나라와의 전투에서 공명의 명을 어기고 대패를 초래하게 하고 말았다. 공명은 재주는 아깝지만 군율을 엄정하게 지키도록 하기 위하여 눈물을 머금고 마속을 처형할 수밖에 없었다. 마속(馬謖190~228)은 제갈공명의 제자이며 아끼는 장수였다. *읍참마속(泣斬馬謖)-사자성어로 표현한 구임.

오늘의 명언 2022.07.20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덕은 재주의 주인이고, 재주는 덕의 종이다. 徳者才之主, 才者徳之奴. (菜根譚) 덕자재지주, 재자덕지노. (채근담) 덕은 재능을 지배하는 주인이고 재능은 덕에 의하여 쓰이는 노예이다. * 중국 고전의 하나로서 전집(前集) 222편에는 인간관계를 주로 다루고, 후집(後集) 135편에는 자연과 한가롭게 사는 즐거움을 적은 중국 명대 말기의 홍자성(洪自誠)의 수필집이다. 채근담이라는 말은 주희(朱熹)의 소학(小學) 선행 제6 말미의 말에서 유래 하는 데 곧 뜻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YuGWyTds70s

오늘의 명언 202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