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

사회성 획득으로 진화한 사람의 얼굴 (5/5)

사회성 획득으로 진화한 사람의 얼굴 (5/5) 개에게 물었다. --얼굴로 연애를 한다니, 천박하다.!?-- 기도(氣道)를 연구했지만, 잃어버린 고도의 후각 시스템 사람의 콧구멍은 아래로 향하고 있다고 지적당한 우리들 사람의 코는 어째서 아래로 향하고 있는 것일까? 개 등의 얼굴과 비강은 전후로 길고 비공(콧구멍)은 앞을 향하고 후비공(後鼻孔)에 이어지는 인두도 경사되었으므로 호기(날숨)도 흡기(들이는 숨)도 그다지 굽지 않고 비강을 통과한다. 털이 없고 언제나 습한 고무와 같은 비경(鼻鏡)이 있는데, 이것은 호기와 흡기의 기도(氣道)를 나누어서 냄새를 구분하여 맡는데 쓸모가 있고 시각보다 후각에 의지하여 사는 많은 포유류에 갖추어진 뛰어난 기능이다. 그러나 사람의 얼굴과 코는 호기나 흡기도 같이 외비강으..

인류 진화의 연대를 재는 과학의 자 (4)

인류 진화의 연대를 재는 과학의 자 (4) -이 밝힌 것- 충격의 사실을 내놓은 열(熱)루미넨스법 그런데 새로운 측정방법에 따른 1987년에 발표된 결과는 충격적인 것이었다. 프랑스 고고학자 에레나. 비라다스와 그의 부친인 물리학자 조루쥬. 비라다스가 열루미네센스법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써서 가프세동굴에서 출토한 석기의 연대를 측정한바 10만 년 전 것이라는 예상 외로 오랜 연대를 나타낸 것이다. 또 하나의 해부학적현대인이 발견된 스흐루동굴유적의 석기도 거의 같은 연대가 얻어졌다. 한편 이스라엘의 네안데르탈 중 타분은 12만 년 전이라고 더 오랜 연대를 나타내었는데, 아무드와 게바라의 네안데르탈은 6만 년 전과 현대인보다도 젊은 연대로 되어 버렸다. 혹시 해부학전현대인이 네안데르탈에서 진화한 것이라면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