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알고리즘 3

판도라의 상자를 연 ChatGPT의 충격

판도라의 상자를 연 ChatGPT의 충격 올해 설날에 일 년의 계획을 세웠다. 라고 용감하게 말했지만, 잠시 동안 연초부터 퍼져가는 "ChatGPT"의 기세에 상당히 기가 밀렸다. 오픈소스 오픈AI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형AI인 챗GPT는 지난해부터 업계 사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지만, 이제 와서 마이크로소프트는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고 자사의 검색엔진 '빙(Bing)'과 웹브라우저 '엣지(Edge)'에 탑재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한다는 발표로 널리 일반에게 화제가 되었다. 지금까지 AI, 인공 지능, 기계 학습, 심층학습과 같은 용어는 업계 사람들만 사용하는 업계 용어였지만 ChatGPT의 등장으로 일반 신문에서 매일 다루는 주제가 되었다. 전날, 평소와 같이 동네의 메밀국수집에서 술을 마시고 있..

인공지능과 심층학습(1/3)

인공지능과 심층학습(1/3) 1) AI(인공지능)이란?Deep Learning(심층학습)이란 와 의 기본적 개념을 소개한다. 먼저 알아둘 것은 AI는 종합적인 개념과 기술이고 Deep Learning은 AI를 지탱하는 수법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인간은 동물을 보았을 때 를 순간 판단한다. 그 메커니즘은 눈이나 귀로 얻은 정보를 경험, 지식과 비추어보아서 추측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AI의 기본적인 개념도 같아서 인간의 뇌가 행하고 있는 을 컴퓨터로 모방하는 데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이 이다. AI도 경험. 지식이 없다면 추측하지 못하고 적절한 회답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거기서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법칙이나 룰 등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 학습방법은 이라 하고 이라는 수법도 있다. 인간도 어릴 때는..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3/5)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3/5) 3) 기계학습-인공지능을 실현하기 위한 어프로치 본질적으로 이란 세상의 특정한 사상(事象/일)에 대하여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결과로서 학습하여 판단이나 예측을 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곧 기계학습에서는 특정한 최소단위를 완료하기 위한 명확한 수순에 따라 수작업으로 소프트웨어 *루틴을 코딩하는 것이 아니고 대량의 데이터와 다스크(task=작업, 학업, 일 등의 의미)를 실현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기계의 이 행해진다. * 알고리즘(Algorithm)=알고리즘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