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시계 5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6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6 16, 문자판은 어째서 영(0)이 아니라 12로부터 시작하는가? 시계의 문자판은 어째서 영(0)이 아니고 12로부터 시작하는 것일까? 실은 인류 문명에서 영(0)이 최초로 발견된 것은 8세기 인도였다. 수학에서 영의 개념이 발견된 것인데 그 때 시계는 이미 발명되어 있었다. 아직 기계식시게는 아니었지만 해시계, 물시계는 각지에서 사용되고 있었고 그 문자판은 12로부터 시작하고 있었다. 그 후 시계의 문자판은 수정되는 일 없이 12를 정점에 둔 문자판이 계속 사용된 것이다. 곧 시계의 문자판보다도 이 늦어진 때문이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로마자의 문자판의 4시에는 IV가 아니라 III가 쓰이는 것이다. 이것은 14세기 프랑스에서 샤르르 5세가 명하여 만들어진 시계에..

과학/과학 2021.07.16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1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11 11, 전파시계 전파시계는 원자시계 등의 기준시계에서 라디오 등을 통하여 보내지는 시각계(時刻系)를 바탕으로 시간을 수정하는 시계이다. 보통은 단 하나의 정보를 바탕으로 수정되는데 그로벌 포지쇼닝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전지구측위시스템(全地球測位시스템) 등 복수의 정보를 바탕으로 수정하는 것이다. 전파시계는 유럽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퍼졌다. 전파시계는 표준전파의 송신국에서 송신되는 원자시계에 의한 일부, 시각정보의 전파를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시각을 맞추는 시계이다. 전파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환경에 한해서 초단위로 정확한 시각을 알 수가 있다. 표준전파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여름시간(서머타임)이나 윤초(閏秒)에 따른..

과학/과학 2021.07.09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9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9 9, 천문시계 이슬람의 천문학자는 아스토로라베(Astrolabe=천문관측용 기기, 계산기)를 모스크나 천문대에서 천문시계로서 사용하였다. 11세기 송나라(Technology of the Song Dynasty) 의 천문학자, 시계기술자(horologist), 기계기술자인 소송(蘇頌)은 수도 개봉에서 수동력식 천문시계를 만들었다. 끝없이 움직이는 시계로서 세계 처음이었다. 같은 무렵 이슬람의 천문학자들도 정교한 천문시계를 만들어 모스크의 천문대에서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10세기 아브도르 라프만 수피(Abū-al Husayn ‘Abd-al Rahmān b. ‘Umar al-Ṣūfī al-Rāzī、903년-986년)/페르시아인 천문학자)는 천구의(天球儀)의 시간측정에 사용..

과학/과학 2021.07.07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5

인간과 시계의 5000년의 역사 5 5, 불씨로서도 중요시한 불시계 인류는 연소하는 불을 써서 (연소시계)도 짜내었다. 서양에서는 양초나 기름을 쓴 것이 많은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향(香)이나 선향(線香) 화승(火繩) 등도 사용되었다. 양초시계는 양초의 측면에 눈금을 그어서 타지 않고 남은 눈금으로 경과시간을 읽었다. 중세 프랑스에서 유행하여 루이 9세는 십자군 원정 시에도 휴대하고 가고 막사 안에서도 사용하였다 한다. 램프에 의한 불시계는 미리 눈금을 적은 용기에 기름을 넣고 불을 붙여 남은 기름의 양으로 시간을 재었다. 그러나 담긴 기름의 양으로 하부에 걸리는 유압이 변하면 연소속도가 변하여버린다. 이런 때문에 압력을 평균화하려고 기름통의 모양을 양리형(洋梨型/위는 가늘고 아래는 둥근 모양)으로 하는..

과학/과학 2021.07.01

아무리 정확한 시계라도 <어긋남>이 생기는 이유

아무리 정확한 시계라도 이 생기는 이유 아무리 정확한 시계라도 장소가 바뀌면 진행하는 방법이 어긋난다는 것을 아는가? 상대성이론이라는 사고방식에 따르면 몇 가지의 조건 하에서는 시간이 진행하는 속도가 바뀐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중력에 의하여 시간이 나가는 방법이 변한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장소에서는 시간이 천천히 나간다는 것을 알았다. 공격자(光格子) 시계를 쓰면 스카이트리(도쿄의 최신 탑 634m)의 전망대에서는 지상에서보다 1일에 4.26나노 초(1 나노 초=10억분의 1초)만큼 빨리 시간이 나간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시계의 나가는 방법을 바꾸는 것은 중력만이 아니다. 실은 시계가 이동하고 있어도 시간의 나가는 방법은 바뀐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빨리 이동하면 빨리 이동할수록 멈추..

과학/시간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