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시간관리 4

<아침형 인간>과 <야간형 인간>은 무엇이 다른가

과 은 무엇이 다른가 과 의 생활 패턴을 소개한다. 아침은 건강하고 밤은 불규칙하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반드시 그렇다고만 할 수는 없다. 과 이 나뉘는 것은 어째서인가? 세상에는 일찍 일어나는 것이 능하다는 이 있는가 하면 밤이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하는 인간도 있다. 그러면 어째서 과 으로 나뉘는 것일까? 국제적인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따르면 아침형과 야간형의 다름은 그 사람의 능하고 무능하다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정해진 것 같다. 사람에게는 하루의 리듬을 만드는 가 있어서 그 체내시계를 컨트롤하는 유전자의 수에 따라 아침형과 야간형이 정해진다. 아침은 건강하고 야간은 불규칙하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의 특징 아침형 인간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

과학/과학 2022.11.09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80 : 20의 법칙>(4)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4) 는 말하기보다 간단하지 않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는 것은 말처럼 간단하지 않다는 점이다. 언어의 습득이나 일 전반에 걸쳐서는 기지의 정보나 경험에서 어디가 파레토법칙의 80%의 가치를 낳고 있는 20%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이외 부분에서는 예단은 금물이다. 일본에서는 흔히 사업 분야에서의 예산이나 자원의 분배에 대해서 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과학연구 예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있어서 금후 큰 성과를 전망할 수 있는 분야에 을 행하여 단기간에 큰 회수를 얻으려는 상태이다. 이 수법은 선택한 부분이 참으로 성장할 것인지 어떤지에 리스크가 잉태해있다. 성장이 전망되는 부분 중요한 부분을 미리 알고 있다면 선택과 집중은 잘 된다. 그러나 현실..

상식 2022.01.13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80 : 20의 법칙>(3)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3) 법칙을 모르면 본질적이 아닌 부분에 시간을 낭비한다. 이 법칙을 모르고 모든 작업을 같은 정도의 중요한 것이라고 취급하다보면 본질적이 아닌 부분에 시간을 낭비하는 데에 이어진다. 시간에 달성될 수 있는 성과가 평등하지 않다면 우리들의 행동도 그에 맞추어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과연 무엇을 어느 정도로 라는 생각을 이어가는 데에 파레토의 법칙을 알아야 할 의의가 있다. 원칙- 시간의 진행 방법도 그 내용도 하나는 아니다. 우리들은 해야 할 일, 가야 할 방향을 향하여 시간 사용 방법을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10쪽의 계획서를 10일간 작성하고 있다고 하자. 이런 서류로 가장 중요한 것은 기획의 신규성이나 독자성을 어필하고 있는 1-2쪽 정도일 경우..

상식 2022.01.12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80 : 20의 법칙>(1)

시간이 없다고 한탄하는 사람이 모르는 (1) 아무리 공부를 해도 시간이 부족하다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어째서 시간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일까. 신저 *『라이프해크대전(大全) 원칙』을 상재하였다. 연구자, 블로거(Blogger)인 호리 마사다케(堀正岳) 씨가 에 대해서 해설한다. ===*라이프해크 (Lifehack) 라이프 핵은 모든 삶의 단계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트릭, 지름길, 기술 또는 참신한 방법. 위키백과=== 결국 시간은 어떻게 해도 부족해진다. 인생을 바꾼다는 것은 시간을 쓰는 방법을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을 쓰는 방법을 바꾸려면 지금 다른 행동으로 묻혀버리는 매일의 행동을 바로잡아 다른 행동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이것이 시간관리의 본질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흔히 있는 시간..

상식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