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스페인독감 2

코로나바이러스가<일본에서는 소멸하였다>고 할 수 있는 이유

코로나바이러스가 고 할 수 있는 이유 일본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의 감소는 바이러스가 자멸한다는 가 아닌가 하는 설을 전편 를 전했다. 후편은 다시 전문가에 따른 그 이외의 감소요인을 해설한다. 바이러스는 자연 소멸한다. 역사적인 팬데믹의 사례를 보아도 증감을 반복한 후에 돌연 마무리로 향했다. 예를 들면 1918년부터 유행한 스페인독감이다. 당시 세계 인구 3할 이상이 감염하여 수천 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전 세계에서 원인인 병원체를 추구하여 연구하였지만 아무 것도 판명되기 전에 약 4년으로 자연히 마무리하였다. 당시 스페인독감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제 일본의 상황에 비추어보자. 를 가져온 것은 감염력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 바이러스이다. 이 변이주가 높은 복제력을 획득하지 않았기에 피크에 1일 2만 ..

과학/과학 2021.11.27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1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1 인류는 과거에도 세계규모의 감염증을 몇 번이나 경험하고 있다. 역사적인 시점에서 금후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4회에 나누어 생각해 보기로 한다. 1,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이었다.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의 역사였다. 한센 병, 콜레라, 천연두 등 현재에도 알려진 감염증은 과거에 세계에서 대유행하여 많은 인명을 빼앗았다. 구체적으로는 13세기에 한센 병, 14세기에 페스트, 15세기에 매독, 17- 18세기에 천연두 19세기에 코레라와 결핵, 20세기에 인플루엔자와 에이스, 그리고 21세기에는 이 번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배경에 있는 것은 이하 3개이다. ㅇ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게 되어 인구밀도가 높아졌다는 것 ..

과학/과학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