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수면 6

수면패턴에는 16종류가 있다.

수면패턴에는 16종류가 있다. -10만인의 데이터 분석에서 판명- 수면은 16패턴 영국에서 10만인 이상의 수면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연구에 따르면 수면은 16종의 패턴이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불면증이나 그 예비군의 진단에 쓸모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크게 5개의 패턴(집단)으로 나누이고 다시 거기서 작은 집단으로 나누인다. 수면 데이터는 UK바이오뱅크(biobank)가 수면 각성 패턴을 골라내기 위하여 스마트 리스트밴드(Smart Wristband)로 모은 것이다.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이나 약간의 움직임에서 잠을 자고 있는지 어떤지를 측정하였다. 이리하여 다양한 수면 패턴이 떠올랐다 한다. 16종류의 수면 패턴 수면 패턴은 크게 5개의 집단(1-5)으로 나눈다..

과학/과학 2022.05.27

<수면 연구>의 제일인자에게 듣는다.(2/3)

의 제일인자에게 듣는다.(2/3) 하품 를 찾는다. 아무리 좋은 잠을 자려고 생각해도 좀처럼 이 오지 않고 결국 밤늦게까지 깨어있어야 하는 사람이 많다. 실은 야나기사와 교수 등이 행하고 있는 것이 이 의 정체를 찾는 연구이다. 야나기사와 교수는 졸음과 수면. 각성에 이르기까지의 구조를 동물을 쫓기 위한 의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야나기사와 교수) 그러면 죽통의 물(졸음)이란 무엇일까. 실은 2018년 야나기사와 교수 등이 그 정체로서 유력한 뇌내현상을 발견하고 있다. 마우스를 쓴 실험에 의하여 기상하고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뇌내의 복수의 단백질인 라는 변화가 진행된다는 것을 알았다. 인산화 하는 단백질은 약 80종이다. 특히 그 중에서 69종류는 뇌의 신경세포끼리로 정보전달을 행하는 이라 불리는 부위..

과학/과학 2022.05.24

<졸음>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4/5)

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4/5) --1만 마리의 마우스와 상대하여 수면의 수수께끼에 다그친다.-- 의 정체는 단백질의 인산화? 2012년에 IIIS의 기관장으로 취임한 야나기사와 씨는 모르는 것만 있는 수면의 본질에 다그치는 것은 수면의 이상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단서로 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유전자를 무작위로 파괴한 대량의 마우스를 써서 1 마리 1마리의 뇌파를 취하여 수면에 이상이 있는지 어떤지를 조사해 갔다. 그 중에서 수면시간이 극단으로 길고 각성하고 있는 시간이 짧은 마우스를 발견하여 그 특징이 대대로 이어지는 라는 가계를 만들었다. 잠을 자도자도 졸리는 마우스 스리피를 조사해보니 체내의 특정의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인산화시키는 효소 을 만드는 유전자가 변이하고 있었다. 야나기..

과학/과학 2022.05.05

<졸음>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2/5)

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2/5) --1만 마리의 마우스와 상대하여 수면의 수수께끼에 다그친다.-- 수면의 수수께끼 과 수면에 큰 2개의 수수께끼가 있다. 그 하나는 이다. 수면 중에 무엇인가가 뇌내에서 회복하고 있다고 생각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무엇이 회복되고 있는지 어떻게 하여 수면이 필수인지는 모른다고 한다. (야나기사와) 그래서 또 하나의 수수께끼는 이다. 인간이거나 동물이거나 매일의 수면량은 거의 일정하게 지키고 있다. 또 수면부족이 되면 그 익일에는 졸린다. 이처럼 수면에는 항상성이 있는데 수면량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모르고 있다. (야나기사와) 야나기사와 씨에 따르면 수면은 일본 정원 등에서 쓰이고 있는 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정원에서 쓰는 죽통에 물을 조금씩 들어가서 차면 기울..

과학/과학 2022.05.03

<졸음>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1/5)

의 정체가 보이기 시작했다.(1/5) --1만 마리의 마우스와 상대하여 수면의 수수께끼에 다그친다.-- 수면을 테마로 한 예술 작품 앞에서 사람은 수면과 각성을 반복한다. 그 극히 일상적인 행동의 구조는 실은 라고 할 정도로 수수께끼에 싸여 있다. 도대체 어째서 우리들은 잠을 자지 않으면 안 되는가. 1998년 그 때까지 마치 구름을 잡는 것 같은 상태였던 수면연구에 큰 변화를 가져온 것은 수면이나 각성에 깊이 관계하고 있는 신경전달물질 의 발견이었다. 오렉신 발견자인 추쿠바대학국제통합수면의과학연구기구(WPI-IIIS)기구장인 야나기사와마사시(柳沢正史) 씨는 수면의 수수께끼 해명에 도전 일변도로 수면장해의 진료에 공헌하기 위하여 벤처기업을 세웠다. 기초수면학 연구의 제1인자로 연구의 현재 지(地)와 실현..

과학/과학 2022.05.02

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뇌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 뇌과학자가 가르치는 10분에 뇌를 활성화시키는 10가지 방법 『뇌유지관리대전』의 저자로 미국의 뇌과학자 그리스틴 윌미아 씨는 이렇게 말한다. 동씨는 뇌에 장해를 안고 있는 환자에 대하여 식사 등의 생활습관을 바꿈으로써 뇌 기능을 극적으로 회복시켜왔다. 본고에서는 누구나 실천하기 쉬운 을 소개한다. 40세 이후 뇌의 용적은 10년에 5%씩 줄어든다. 혹시 당신이 20대로 인지기능이 쇠함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생각을 고치기 바란다. 인간의 뇌는 25세가 되어서 겨우 완성한다. 신경과학자 중에는 뇌는 30대까지 계속 성장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곧 20대의 식생활, 수면, 운동습관, 음주 등의 생활습관 모두가 뇌의 성장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30대에 뇌는 ..

과학/과학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