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손자 18

7월 7일, 오늘 명심할 명언. (188)

7월 7일, 오늘 명심할 명언. (188) 먼저 아는 것은 귀신에게서 취해도 안 되고, 일에 본 따도 안 되고, 도에 시험해도 안 되며, 반드시 사람에게 취하여 적의 정을 알아야 한다. 미리 안다는 것은 무당이나 점쟁이를 통하여 아는 것도 아니고, 다른 어떤 일을 통하여 추리로 아는 것도 아니며, 천문(度)을 보고 아는 것도 아니고, 오직 사람의 힘을 통해서 적의 실정을 탐지해야 한다. 先知也, 先知者不可取於鬼神, 不可象於事, 不可驗於度, 必取於人, 知敵之情者也.(孫子, 用間篇) 선지야, 선지자불가취어귀신, 불가상어사, 불가험어도, 필취어인, 지적지정자야.(손자, 용간편)

오늘의 명언 2023.07.07

1월 1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

1월 1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 전쟁은 나라의 큰일이요, 죽고 사는 땅이요, 남아 있고 망해 없어지는 길이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兵者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孫子, 計篇) 병자국지대사, 사생지지, 존망지도, 불가불찰야.(손자. 계편) 병 곧 전쟁은 국가의 명운을 결정하는 큰 문제이다. 국민의 생사가 결려있고 국가의 존망이 갈리는 길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잘 생각하고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늘의 명언 2023.01.11

7월 23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4)

7월 23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4) 진격함에 명예를 구하지 말고, 물러섬에 죄를 피하지 말며, 오로지 백성을 지킨다. 進不求名, 退不避罪, 唯民是保. (孫子, 地形篇) 진불구명, 퇴불피죄, 유민시보. (손자, 지형편) 전장에서 군이 진격함에 있어서 지휘관은 자신의 공명을 구하려 해서는 안 된다. 퇴각할 때에도 자신의 책임을 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 나가거나 물러서거나 오로지 백성의 안전만을 목표로 해야 한다.

오늘의 명언 2022.07.23

7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7)

7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7) 처음에는 처녀처럼 후에는 도망치는 토끼처럼 한다. 始如處女, 後如脫兎. (孫子. 九地) 시여처녀. 후여탈토. (손자, 구지) 처음에는 처녀처럼 얌전하고 조용하게 대하고 일단 결심이 서면 그물에서 도망치는 토끼처럼 신속하게 행동한다함이다. 적의 간첩에 대하는 태도로서 처음 들어왔을 때에는 얌전하게 환영하되 간첩이 적의를 나타낼 때는 여유를 주지 않고 신속하게 처단해야 한다.

오늘의 명언 2022.07.16

6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0)

6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0) 백전백승이 최 상책은 아니다. 百戰百勝非善之善者也. (孫子, 謀攻) 백전백승비선지선자야. (손자, 모공) 백 번 싸워서 백 번 이기는 것이 가장 잘 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손자는 무력을 써서 싸우지 않고서 사람을 굴복시키거나 이기는 것이 가장 잘하는 일이라고 했다. 싸움을 한다면 이기거나 지거나 이긴 편이라도 손실을 피할 수가 없으니 무력으로 싸우지 않고 외교활동이나 모략으로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 최 상책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EV7ZsDNqq_g

오늘의 명언 2022.06.09

5월 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21)

5월 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21) 잘 싸우는 자란 쉽게 이기는 자이다. 善戰者勝, 勝易勝者也. (孫子, 軍形) 선전자승, 승이승자야. (손자, 군형) 잘 이기는 자란 잘 싸우는 자가 이긴다. 그것은 이기기 쉬운 자를 상대로 하여 이기는 것이다. 곧 여유를 가지고 무리하지 않고 이기는 자가 잘 싸우는 자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NW9sW_PvGWA

오늘의 명언 2022.05.01

2월 6일, 오늘 명심할 명언 (37)

2월 6일, 오늘 명심할 명언 (37) 지혜로운 자의 배려에는 반드시 이해가 섞여있다. 智者之慮必雜利害 .(孫子, 九變) 지자지려필잡이해.( 손자. 구변) 지자 곧 지혜로운 사람이란 판단을 그르치지 않은 사람이다. 그는 반드시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을 양면에서 생각하기 때문에 판단을 그르치지 않는다. 사람들은 달콤한 제의가 있으면 곧잘 덤벼들어서 말려들고 결국 손해를 보는 일이 많다. 그러나 이익을 추구할 때는 손실도 고려해야 한다. 그러면 일이 순조롭게 나아갈 것이다. 만일 손실을 입었을 때에는 그로 인하여 이익이 되는 점은 없는지를 생각해보면 타격은 줄어들 것이다. *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손무(孫武)가 만든 병법서이다. 후에 의 하나로 헤아려진다. 동서고금의 병법서 중에 가장 유명하다. https..

오늘의 명언 202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