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포막 3

생명의 정의마저 흔드는 대사의 <있을 수 없는 반응>(1/3)

생명의 정의마저 흔드는 대사의 (1/3) --이어지는 보고는 생명의 기원해명의 열쇠인가-- 세포가 먼저인가 대사가 먼저인가, 화학반응은 어느 시점부터 생명이라고 불리는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모노호수(Mono Lake)는 탄산염과 인을 풍부히 함유한 염호(鹽湖)이다. 초기의 지구에는 이런 호수가 많이 있어서 생명이 탄생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했다고 생각되고 있다. 마르크스 라르사 씨는 생명의 기원을 연구할 생각은 아니었다. 씨는 주로 세포가 양분을 취하는 프로세스나 이 프로세스가 스트레스나 병에 의하여 잘 작용하지 않는 구조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10년 정도 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University of Cambridge)에 재적하고 있던 씨의 팀은 전혀 우연에서 충격적인 발견을 한다. 라르사 씨 ..

과학/과학 2022.05.09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는 ? 잘 생각하면 무서운 미래가 보인다.

생물과 무생물의 경계는 ? 잘 생각하면 무서운 미래가 보인다. 포유류의 특징은 코가 길다는 것? 포유류란 무엇인가.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하지만 포유류를 조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포유류인 코끼리를 조사했다고 하자. 그 결과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다. 그 중에는 코가 길다는 것이 포유류의 특징이라는 의견도 있었고 모유로 아기를 키우는 것이 포유류의 특징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물론 코가 길다는 것은 포유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다른 포유류와의 공통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을 알기 위하여서는 다른 여러 가지 포유류도 조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생물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생물이란 무엇인가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생물을 조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우..

과학/과학 2022.04.08

어째서 흡연자는 코로나에 잘 감염되지 아니 하는가 (2)

어째서 흡연자는 코로나에 잘 감염되지 아니 하는가 (2) -히로시마대학이 발견한 의외의 메커니즘- 바이러스가 세포에 감염하게 하는 여기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해두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의 체내에 들어가면 표면에 있는 돌기상의 가시(스파이크단백질)가 세포막의 표면에 있는 에 찰싹 달라붙게 한다. 이것은 우리들 체내에 바이러스가 침입하게 하는 문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의 분해효소 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단백질을 적절한 위치에서 절단하고 이윽고 바이러스와 세포가 융합한다. 우리들은 ‘바이러스의 감염’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바이러스는 세포내에 침입하여 스스로 유전물질(RNA)을 주입함으로써 우리들의 세포를 으로 하여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복제한다는 구조이다..

과학/과학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