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색각 4

게놈 연구에 의하여 사람에 이르는 유전자 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2)

게놈 연구에 의하여 사람에 이르는 유전자 진화는 어디까지 알고 있나. (2) 신규 기능획득에 의한 유전자진화의 예 신규기능획득에 의한 유전자진화의 예로서 면역계의 진화가 유명하다.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에 MHC(주요조직적합성항원) 유전자나 면역 구로브린(menekiguroburin=면역 구로브린이란 이물이 체내에 들어갔을 때 배제하도록 작용하는 항체의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말한다.)항체유전자의 예가 있다. 이것들은 획득면역반응에 필수로 분해한 외래 이물을 제거하는 역할이나 외래 이물에 결합하여 무해화하는 역할을 가지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에서 외래 이물을 의식하는 영역의 진화를 조사해보면 종내(種內), 종간(種間)을 불문하고 매우 많은 변이가 생물집단 내에 축적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

<정상색각>이 참으로 유리한가

이 참으로 유리한가 가와무라 씨 등의 탐구는 실험실에서의 오프신 유전자의 연구에서 신세계 원숭이의 행동관찰을 하는 분야까지 세련되게 이어진 것이 되었다.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진화생물학자의 꿈의 달성이다. 점점 섬세하게 보아서 유전자 레벨에서 해명된 것이 실제로 생물이 날마다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그 적응적 의미는 무엇인지 직접 조사할 수 있는 테마는 아직은 그리 많은 이야기는 아니다. 다시 가와무라 등의 필드워크는 지금까지의 상식을 뒤집는 발견도 가져왔다. 예를 들면 거미원숭이가 주로 먹는 과실을 채집해 와서 익은 것과 미숙한 것의 반사특성을 본다. 과실이라고 해도 익으면 확실히 색깔이 변하는 것도 있지만 그다지 변하지 않는 것도 있다. 다시 여러 가지 나무의 잎도 측정한다. 그리고 ..

과학/과학 2021.01.18

어째서 영장류는 다시 3색형 색각을 획득했는가

어째서 영장류는 다시 3색형 색각을 획득했는가 영장류는 교과서에서도 시각의 동물이라고 옛날부터 말해왔다. 발달한 시각 시스템이 영장류의 큰 특징이다. 안구가 정면으로 향해 있어서 입체시가 된다든지 시세포의 밀도가 높아서 공간 해상도가 높다든지 다시 3색형 시각이다. 전회에서는 어류의 색각 이야기로 제브라피쉬는 4색형 색각을 가질 뿐 아니라 수면 방향과 수저 방향으로 망막 상에 다른 센서가 세트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포유류는 어류뿐 아니라 양생류, 파충류, 조류와는 달리 일단 2색형 색각으로 되어 있어서 영장류에서 3색형이 되었다는 경위를 가지고 있다. 중생대 공룡시대에 아마도 우리 선조는 야행성인 소동물이었다고 생각되어서 어두운 곳에서는 고도의 색각은 필요하지 않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아마도 ..

과학/과학 2021.01.13

<색깔>은 빛에는 없고, 뇌 안에 있다.

은 빛에는 없고, 뇌 안에 있다. 어째서 우리들에게는 색각(色覺)이 있고 어떻게 진화해 왔는가? 밝거나 어둡거나 보고 있는 색이 항상 지탱되는(뇌가 인식하고 있다.) 것을 이라고 한다. 덕분에 밝기가 고루 변하도록 하는 상황에서도 색의 다름이라면 안정되어 분간할 수 있다. 『와 불가사의한 사회 2020년대의 언론』(筑摩書房)을 상재한 가와바다히로도(川端裕人) 씨가 척추동물의 색각의 진화를 연구하는 가와무라쇼지(河村正二) 도쿄대대학원교수에게 질문한 제2회이다.--------- 사람, 나가서 척추동물의 색각에 대하여 전회에는 기초를 굳혔다. 망막에 있는 시세포에는 간체(桿體)와 추체(錐體)가 있어서 간체는 박명(薄明)한 곳에서의 용 그리고 추체는 밝은 곳에서 작용하여 색각에 관계하고 있다. 시세포가 빛을 느..

과학/과학 202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