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빅뱅 8

물리학자가 해명한다. 언젠가 종말을 맞을 우주에서 우리가 사는 의미(1/3)

물리학자가 해명한다. 언젠가 종말을 맞을 우주에서 우리가 사는 의미(1/3) 라는 궁극의 물음을 초현이론으로 밝히려는 세계적 베스트셀러 이다. 과학을 좋아한다면 서명을 외고 있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 저자이기도 한 이론물리학자인 브라이안 그린의 신작 가 간행되었다. 어째서 물질이 생기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가는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이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 장대한 스케일을 그려내고 그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제1급의 포퓨러사이언스(Popular science=는 전문가가 발견한 자연의 예고를 비전문가에게 전달하기 위한 과학의 형태)。 그 모험 부분을 소개한다. 우주의 법칙은 수학의 언어로 되어 있다? 간단하고 정곡으로 핵심을 ..

환경. 우주 2022.06.06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3/3)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3/3) 우주팽창 최초의 순간 젊은 포스트독(Postdoctoral Researcher혹은 Postdoc/박사 연구원)이었던 알란 구스(Alan Harvey Guth、1947년 2월 27일 -, 미국 우주물리학자. 인플레이션이론 제1인자) 가 빅뱅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었을 때의 일로, 척력적 중력이 있다면 우주의 귀찮은 수수께끼 하나가 풀릴는지 모른다는 것을 느꼈다. 관측에 따르면 우주는 분명히 팽창하고 있다. 아인슈타인 방정식도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방정식은 140억 년 전에 시작한 이래 오늘까지 계속하는 팽창을 개시시킨 것이 어떤 힘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닫은 채로였던 것이다. 그 문제를 수학적으로 조사해본 구스는 1979년..

환경. 우주 2022.06.03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세계적인 베스트셀라 『우아한 우주』의 저자 브라이안 그린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즈 제5회이다. 어째서 물질이 생겨나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가려는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의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를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낸 이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본서에서 이번 회는 태양계가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지를 해명한다. 태양은 우주창생부터 세어서 3대째의 항성 나이 45억을 지나서도 태양은 우주의 신입자이다. 태양은 우주의 제1세대의 항성의 하나가 아니었었다. 항성의 선구자가 된 제1세대의 별들은 인플레이션의 팽창으로 공간전체에 끌려 뻗은 물질과 에..

환경. 우주 2022.05.30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1/4)

50억 년 후 기다려 맞이하는 태양과 지구의 운명,(1/4) --팽창하는 태양으로부터 지구는 도망칠 수 있을까?-- 세계적인 베스트 셀라 『우아한 우주』의 저자 브라이안 그린(Brian Greene、1963년 2월 9일 -)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스 제7회이다. 왜 물질이 생겨나는가,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갈 것인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이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내고 이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본서에서 이제 소개하는 것은 태양과 지구의 미래이다. 우주의 시간을 마천루에 비유한다면 미래를 생각할 때는 어떤 구획을 놓으면 좋을 것인가? 일상적인 시간의 스케일이라면 당연히 인간의 ..

환경. 우주 2022.04.18

생명 탄생의 비밀을 물리학자가 해명한다.(4/4)

생명 탄생의 비밀을 물리학자가 해명한다.(4/4) -카오스에서의 질서- 가 자기 복제된다. 잉글랜드는 복제하는 것이야말로 그 자체가 산일적응을 추진하는 유력한 도구가 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혹시 입자의 소집단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것을 이용하고 환경에 산일시키는 것이 능숙해지면 그런 집단은 하나보다도 보통으로 있는 것이 효율이 오를 것이고 4개 8개 증가해가면 더 좋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기 복제되는 분자의 등장은 산일적응의 산물로서 예상되는 것인지 모른다. 그래서 자기 복제하는 분자가 일단 무대에 등장하고 있으면 분자 다윈주의가 작용해서 후는 생명을 향하여 곧장 나간다. 이들 아이디어는 또 초기의 단계에 있지만 슈뢰딩거가 이 이야기를 들었다면 꼭 기뻐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들은 기초..

과학/과학 2022.04.07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빅립>이란?(1/3)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이란?(1/3) -모두가 산산이 흩어지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우아한(elegant) 우주』의 저자 브라이언 그린(Brian Greene、1963년 2월 9일 -미국 이론물리학자)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즈 제8회이다. 어째서 물질이 생기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 것일까.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갈 것인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의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를 장대한 스케일로 그린 이 책에서 이번 회는 우주 종언 시나리오의 하나 를 해설한다. 빅립(Big Rip) 사과를 바로 위로 내 던지면 끊임없이 작용하는 중력 때문에 사과의 위로 가는 속도는 점점 작아진다. 이것은 중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잘 쓰이는 예인데..

환경. 우주 2022.03.28

우주의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주의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전문가에게 들어본다.- 1, 우주의 끝=관측의 한계 신 캐롤(Sean Carroll) 캘리포니아대학공과대학물리학연구교수. 양자역학, 중력, 우주론, 통계역학, 기초물리의 연구에 종사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우주의 끝은 없다. 관측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것이 우리들로서는 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빛이 진행하는 속도가 유한(매년1광년)이기 때문에 먼 것을 볼 때는 시간적으로도 거스르게 된다. 그래서 볼 수 있는 것은 약 140억 년 전, 빅뱅에서 남은 방사선이다. 우주마이크로파배경방사라고 불리는 것으로 우리들을 전 방향에서 둘러싸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이라고 하는 셈은 아니다. 우리들에게 보이는 우주에는 한계가 있고 저 쪽에 무엇이 있는지는 모른다. 우주는 큰 ..

환경. 우주 2021.02.08

우주는 어떻게 탄생하고 어떻게 끝나는가?

우주는 어떻게 탄생하고 어떻게 끝나는가? 지금부터 138억 년 전 우주는 빅뱅으로 태어났다. 이 은 우주로서는 참으로 한 순간이다. 우주는 현재까지의 138억 년을 초반처럼 일부로서 포함하고 금후 적어도 에 걸친 미래를 가진다. 이 너머 미래의 끝에 우주는 을 맞을 것인가? 현재는 우주가 탄생한 직후에 불과하다. 우주는 아직 갓 시작했을 뿐이다. 우리가 사는 우주는 참으로 138억 년 전에 시작했을 뿐이다. 별로 따로 말을 가지고 노는 것은 아니다. 우주의 과거부터 미래에 걸친 역사 전체에서 보면 138억 년 전은 실제문제로서 찰나라고도 말할 수 있는 짧은 기간이기 때문이다. 우주의 역사는 138억 년 전의 빅뱅을 출발점으로 하여 태양계가 형성되고 이윽고 인류가 번영하는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으로서 말..

환경. 우주 202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