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비료 2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미래의 식료> (1)

이 만들어내는 (1) 현재의 농업보다 효율이 좋고 환경부하도 낮다.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세계에서는 금후 식량난이 일어날 것을 지적하고 있다. 여러 가지 식료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져 왔다. 그리고 에서도 태양광발전을 활용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프로테인(protein/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미생물로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만든다. 미생물에서 태양광 발전을 활용함으로써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소라 파넬에서 전력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연료를 만들고 그것을 써서 미생물을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생물반응기) 통으로 배양하여 건조한 프로테인. 파우다로 가공하는 것이라 한다. 그러면 단백질의 양은 대두 등의 작물의 10배 이상이나 된다는 연구결과가 새롭게 발표되었다. ===*바이오리..

과학/과학 2021.12.13

식물 호르몬 연구 (1)

식물 호르몬 연구 (1) 인류의 위기를 구할 식물이 비장하고 있는 힘을 해명한다. 식물 호르몬 연구는 근년 크게 진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분야이지만 식물 호르몬의 작용을 이용하면 작물의 수확량을 올리고 환경문제의 해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농업생산의 혁명으로 이어진 식물 호르몬 식물 호르몬이란 식물의 체내에서 생성되어 그 식물의 생장 형태형성이나 환경응답을 제어하는 물질을 말한다. 그다지 익숙하지 않은 말이라고 생각하지만 식물 호르몬의 기능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증산이나 품종개량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어떤 호르몬이 어떻게 생장에 관계하고 있는지 등 아직 미지의 분야도 많고 환언하면 매우 커다란 가능성을 비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예를 들면 씨 없는 포..

과학/과학 2021.10.27